올라퍼 엘리아슨(Olafur Eliasson) 작품에서 관람자와 작품의 상호관계
본 연구는 현대미술에서 가장 주목받는 작가 중 하나인 올라퍼 엘리아슨(Olafur Eliasson) 작품의 주요 특징인 작품과 관람자와의 상호작용/소통/관계를 그의 작품을 통해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엘리아슨은 예술 외 타학제와 협업을 통해 철학, 과학 등으로 확장된 폭넓은 예술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의 작품에서 관람자는 예술 작품을 존재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관람자가 작품과 마주했을 때 발생하는 다양한 의미와 경험들이 작품의 주요 의도라고 볼 수 있다. 일련의 그의 전시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You”는 작품을...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18; no. 2; pp. 203 - 21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현대미술에서 가장 주목받는 작가 중 하나인 올라퍼 엘리아슨(Olafur Eliasson) 작품의 주요 특징인 작품과 관람자와의 상호작용/소통/관계를 그의 작품을 통해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엘리아슨은 예술 외 타학제와 협업을 통해 철학, 과학 등으로 확장된 폭넓은 예술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의 작품에서 관람자는 예술 작품을 존재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관람자가 작품과 마주했을 때 발생하는 다양한 의미와 경험들이 작품의 주요 의도라고 볼 수 있다. 일련의 그의 전시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You”는 작품을 응시하고 있는 관람자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그의 작품이 관람자의 경험을 중요시한다는 전제하에 그의 작품을 설명하였다. 첫째, 그의 작품은 놀이 개념으로서의 상호관계를 이끌어낸다. 그것은 다음에 열거하는 특징들에 의해 가능하다. 둘째, 그의 작품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빛, 색, 시간, 관람자의 움직임이다. 빛과 색으로 충만한 공간에 관람자가 들어섰을 때의 감각경험과 관람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까지 작품에 개입하게 된다. 셋째, 그의 작품은 일상공간에 낯선 자연풍경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그는 물, 안개 등 실제 자연요소를 낯선 공간에 위치시키거나 인공조명을 통해 유사자연(artificial nature)을 창조해 낸다. 마지막으로, 거울이나 유리처럼 반사 재료를 사용한다는 점을 그의 작품의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반사매질을 이용해 공간 안에 변화하는 빛과 움직임을 만들어낼 뿐 아니라, 거울을 통해 관객의 자기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그의 작품은 관람자의 경험이라는 현대미술의 중요한 맥락과 맞닿아 있다. 그는 관람자의 신체적 지각경험을 강조하며 이것이 작품과 촘촘하게 연결되어 다양한 의미를 창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어서 그의 작품의 중심에는 관람자가 있음을 알 수 있게 만든다. 결국 그가 추구하는 바는 하나의 완결된 작품 제작보다 관람자가 만들어내는 소통의 다양성이며, 또한 관람자가 익숙하면서도 낯선 상황에 반응하여 소통의 매개체로서 예술의 역할을 재인식하도록 한다. 하나의 완결된 작품 제작보다 다양성을 갖는 관람자의 소통에 더욱 중점을 두어, 관람자가 익숙하지만 낯선 상황에서 반응하여 소통의 매개체로서 예술의 역할을 재인식하도록 만든다. 이런 점에서 그의 작품은 일상적인 자연풍경이 아닌 새로운 현대적 풍경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how Olafur Eliasson makes interrelations and interacts with viewers. Eliasson is known for his experimental installations, which deal with a broad range of subjects such as scientific phenomena. His installations allow viewers to not only observe but also to be a part of the scenery, which marks the completion of his work. Therefore, it is clear that Eliasson leads viewers to become involved in his work. This paper delves into the interrelations between viewers and his work. First of all, his main purpose is that variou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re produced when viewers encounter his work. Secondly, illumination with vivid color, time, and movement are the basic elements that he has used throughout his works. Moreover, he creates artificial nature by relocating natural elements such as water, fog and moss as well as immaterial factors into the gallery space. This contributes to embodying the virtual image in a physical space. Last but not least, he makes use of the reflection of the optical materials, such as mirror and glass, to create changes in light and movement. This enables viewers to have their own perception and self-awareness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surroundings. Likewise, the experience of viewers is fundamental a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exts in contemporary art. By stress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perceptual experience of viewers and his work, he focuses on creating new meanings through diverse interpretations among the viewers. Above all, his work depends entirely on the viewers` contribution to the completion of his work. His work encourages viewers to respond to familiar yet different situations and has a new understanding of artwork as a medium of interaction. In this context, he produces not only replicas of nature but new contemporary phenomena.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33&idx=779 G704-001069.2017.18.2.044 |
ISSN: | 1598-8635 2713-59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