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항공 모빌리티(UAM)의 국내 적용을 위한 수직이착륙장 설계 요구조건 분석 및 형상 제안

본 논문에서는 도심항공 모빌리티(UAM) 시스템을 국내에서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국내외 규정을 분석하여 수직이착륙장의 설계 요구 조건을 도출하고 이착륙 패드의 크기를 규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직이착륙장 형상을 제안하였다. 먼저, 인구 밀집도가 높은 수도권에 대해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한 실증노선을 기준으로 수직이착륙장의 시범 위치를 선정하고 각 위치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크기를 측정하여 수직이착륙장의 설치 가능 수를 파악하였다. 이후 수직이착륙장 운영에 필요한 변수들을 설정하여 동시운용과 주기장 수에 따른 시간당, 하루, 한 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항행학회논문지 Vol. 25; no. 1; pp. 40 - 51
Main Authors 안병선, Byeong-seon Ahn, 황호연, Ho-yon Hw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항행학회 28.0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에서는 도심항공 모빌리티(UAM) 시스템을 국내에서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국내외 규정을 분석하여 수직이착륙장의 설계 요구 조건을 도출하고 이착륙 패드의 크기를 규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직이착륙장 형상을 제안하였다. 먼저, 인구 밀집도가 높은 수도권에 대해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한 실증노선을 기준으로 수직이착륙장의 시범 위치를 선정하고 각 위치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크기를 측정하여 수직이착륙장의 설치 가능 수를 파악하였다. 이후 수직이착륙장 운영에 필요한 변수들을 설정하여 동시운용과 주기장 수에 따른 시간당, 하루, 한 달 동안의 항공기 운용 가능 대수, 수용 가능 인원, 효율성 등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CATIA를 사용하여 가상의 수직이착륙장 형상을 설계요구조건을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In this paper, the design requirements was produced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regulations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site required to operate the urban air mobility (UAM) system in Korea and the size of the take-off and landing pads were defined, and the configuration of vertiport was proposed. First, for the metropolitan area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pilot locations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site were selected based on the demonstration route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tion and determined the number of possible installations of vertiport by measuring each site. After that, variable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rea were set, and the hourly, daily, monthly aircraft operating cycle, the number of acceptable people, and efficiency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multaneous operation and the number of stand. Finally, using CATIA, the configurations of the virtual vertiport was created by applying the design requirements.
Bibliography:THE KOREA NAVIGATION INSTITUTE
KISTI1.1003/JNL.JAKO202111236350401
ISSN:1226-9026
2288-84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