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무 수종별 톱밥재배에 따른 표고의 항산화 특성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 수종을 달리하여 톱밥재배한 표고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건조된 표고를 70% methanol로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활성, ferric reducing antioxidant capacity (FRAP), reducing power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갈참나무로 톱밥재배 한 표고가 3.12 mg GAE/g과 0.84 mg QE/g으로 다른 수종에 비...
Saved in:
Published in | Hangug gynnhaghoi ji Vol. 45; no. 2; pp. 121 - 131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균학회
30.06.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 수종을 달리하여 톱밥재배한 표고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건조된 표고를 70% methanol로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활성, ferric reducing antioxidant capacity (FRAP), reducing power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갈참나무로 톱밥재배 한 표고가 3.12 mg GAE/g과 0.84 mg QE/g으로 다른 수종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10 mg/mL일 때 다른 수종에서 재배한 표고에 비해 갈참나무(89.4%)와 상수리나무(87.9%)에서 가장 높았다. FRAP은 갈참나무일 때 0.42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reducing power도 역시 갈참나무에서 0.359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참나무 수종에 따른 표고의 항산화 활성은 갈참나무로 톱밥재배한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동일한 균주를 이용하더라도 톱밥재료에 따라 표고의 항산화 활성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Lentinula edodes upon sawdust bag cultivation with 5 oak substrates: Quercus acutissima, Q. mongolica, Q. serrata, Q. aliena, and Q. variabilis. We found that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were 70% (v/v) methanol shaken at 150 rpm at 25°C and 150 rpm for 24 h.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L. edodes contained high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they also exhibited stronger antioxidant activitie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mushroom extracts ranged from 2.37 to 3.12 milligrams of gallic acid equivalents per gram of dried mushroom (mg GAE/g) and 0.48 to 0.48 milligrams of quercetin equivalents per gram of dried mushroom (mg QE/g),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mushroom extracts exhibited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5.8% to 89.4%) at 2 to 10 mg/mL,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0.153 to 0.425) at 5 to 20 mg/mL, and reducing power (0.078 to 0.359) at 5 to 20 mg/mL, respectively. Q. aliena more effectively increased total phenolic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e other oak substrates.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KISTI1.1003/JNL.JAKO201718836884454 |
ISSN: | 0253-651X 2383-52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