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운드몽타주 기법을 활용한 작품제작 연구 - <오사카의 크리스마스>를 중심으로
조형예술분야에서 인간내면의 섬세하고 복합적인 감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노력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되어 왔다. 영상분야에서는 편집기술을 계승한 몽타주 기법을 활용하여 인간의 다면적 본질에 접근하고자 하는 장면구성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소비에트의 대표적 몽타주 감독인 푸도프킨과 에이젠슈타인 등은 비일치논리와 사운드대위법을 통해 사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몽타주의 근본적인 원리와 방향성을 제시한 바 있다. 연구대상인 <오사카의 크리스마스>는 시각과 청각의 의도적 불일치에 의한 몽타주 효과를 통해 인간의 복합적인 감성을 전달하고...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1; no. 1; pp. 497 - 50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28.02.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1.1.37 |
Cover
Summary: | 조형예술분야에서 인간내면의 섬세하고 복합적인 감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노력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되어 왔다. 영상분야에서는 편집기술을 계승한 몽타주 기법을 활용하여 인간의 다면적 본질에 접근하고자 하는 장면구성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소비에트의 대표적 몽타주 감독인 푸도프킨과 에이젠슈타인 등은 비일치논리와 사운드대위법을 통해 사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몽타주의 근본적인 원리와 방향성을 제시한 바 있다. 연구대상인 <오사카의 크리스마스>는 시각과 청각의 의도적 불일치에 의한 몽타주 효과를 통해 인간의 복합적인 감성을 전달하고자 한 연구자의 영상작품이다. <오사카의 크리스마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시각이미지와 청각이미지가 의도된 재구성에 의해 각각의 의미를 증폭시키거나, 새로운 의미로 거듭나게 되는개념은 소비에트 몽타주 감독들의 몽타주 이론과 그 맥락을 함께 한다. 시각이미지와 청각이미지의 불일치에 의한 사운드몽타주 사례는 현대의 개성적이고 영향력 높은 감독들의 영화에 의해 그 합목적성이 꾸준히 증명되고 있다. 사운드몽타주에ᅠ의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되는 장면은ᅠ사물과ᅠ상황에ᅠ내재되어ᅠ있는ᅠ속성을ᅠ온전히 노출시킨다.ᅠ그로 인해 사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몽타주는 시간의ᅠ흐름에ᅠ의한ᅠ평면적인ᅠ내용전달의ᅠ차원을 극복할 수ᅠ있는ᅠ동력으로ᅠ작용한다. 청각이미지가 시각이미지와 곱해지고, 나누어지면서 관객들에게 흥미로운 상상력을 부여할 수 있는 사운드몽타주의 특성은 조형예술의 다양한분야에서 활용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연구에 의하면 몽타주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백색소음을 청각이미지의 지배적 장치로 사용하는 것이 조형표현의 새로운 영역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에 접근할 수 있었다. 사운드를 활용한 몽타주실험을 지속해 나간다면 단편적으로 묘사하기 어려운 미묘한 상황과 인간들의 복잡한 생각을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개념을 구체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formative arts field, efforts to express human’s delicate and complex sensibility have been constantly presented various ways. In the moving image field, using montage techniques, which have inherited editing continues to study the composition of scenes trying to approach multi-phasic essence of human being. Pudovkin, Sergei Eisenstein, most famous Soviet montage film directors were demonstrated fundamental principle and direction of montage that actively utilize sound through inconsistent logic and sound counterpoint. Christmas in Osaka, subject of study is a video work a researcher who attempts to communicate multifaceted human emotions through montage effects based on the intentional discrepancy of sight and hearing. The concept of inconsistency in visual and auditory images that can be seen in Christmas in Osaka amplifies meanings or born again by deliberate reconstruction. It connected with theory of soviet montages by montage directors. The case of sound montages based on discrepancies between visual and auditory images is confirm that its purpose has been steadily demonstrated by the films of contemporary, unique and influential directors. Particular scenes, with new meanings added by sound montages, fully exposes the motivations behind objects and situations. It acts as a power that can overcome the dimension of the planar content delivery by flow. The characteristic of sound montage add interesting imagination to the audience by adding, multiplying, and dividing the auditory image with the visual image. It can be established as a concept tha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of formative art. Research has shown that the use of white noise as the tonal montage in auditory image as a way to maximize the montage effect can extend new areas in the art expression. Expect to continue the montage experiment using sound to establish a concept that can effectively express the complicate thoughts and situations that are difficult to describe in fragments.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51&idx=1503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1.1.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