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와 현대의 산 향유 양상 고찰 및 발전 방향 모색 - 경북 선비문화권 주요 명산(名山)을 대상으로

우리나라는 산지형 국가로 예로부터 산은 국민의 일상과 깊은 관계를 맺어왔으며, 산림 향유 문화의 역사적 켜가 두텁다. 따라서 한국 산의 풍부한 유산 문화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다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유의미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산(遊山)문화가 성행하였던 조선시대의 산림 향유 문화와 현대 산림 여가 문화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산 향유 문화의 발전 방향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명산으로 손꼽히는 청량산, 소백산, 속리산의 유산기록과 현대사회의 블로그 산행 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경학회지 Vol. 49; no. 6; pp. 64 - 79
Main Authors 박지은, Park Ji-eun, 양유선, Yang Yoo-sun, 함연수, Hamm Yeon-su, 이나희, Lee Na-hee, 성종상, Sung Jong-s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경학회 31.1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우리나라는 산지형 국가로 예로부터 산은 국민의 일상과 깊은 관계를 맺어왔으며, 산림 향유 문화의 역사적 켜가 두텁다. 따라서 한국 산의 풍부한 유산 문화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다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유의미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산(遊山)문화가 성행하였던 조선시대의 산림 향유 문화와 현대 산림 여가 문화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산 향유 문화의 발전 방향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명산으로 손꼽히는 청량산, 소백산, 속리산의 유산기록과 현대사회의 블로그 산행 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선시대 선비들은 산을 학문과 심신수련의 장, 연회와 문예활동의 공간으로 찾고 있었다. 그리고 산에 오랜 시간 머물며 산수풍경을 오롯이 즐기고 자연 경관을 대상으로 다양한 학예 및 풍류 활동을 하는 등 유산 문화를 꽃피웠다. 반면 현대인들은 산을 하루 반나절 동안 빠르게 완주하는 공간으로 여기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산림 경관을 단순한 조망에서 나아가 문화 콘텐츠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은 산행과 관련한 정보수집이 용이하고 기술 및 교통의 발달로 다양한 규모와 성격의 산행을 상황에 맞게 운영 가능하다는 점은 긍정적이었다. 향후 한국 고유의 산림 향유 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현대사회의 산행의 이점은 살리고 과거 풍부했던 유산(遊山)문화를 재해석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등반에 치우친 산행이 아닌 산의 풍경을 충분히 만끽할 수 있는 유람(遊覽)형 산행을 제안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산수 경관이 다양한 산림 휴양 활동 및 문화로 승화될 수 있도록 적절한 공간 조성 및 배치와 더불어 지역의 역사ㆍ인문 콘텐츠와 사찰 및 인력 자원을 적극 연계하여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In Korea, mountains constitute 60 percent of the total land area. For a long time, mountains have been deeply involved in people's daily lives, acting as a significant layer of culture. For those reasons, it would be meaningful to shed light on the values of the mountain culture of Korea and seek various ways to utilize the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Korea's mountain enjoyment culture, considering the mountain leisur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hen the heritage of mountain enjoying culture was prevalent, and that of the present era. For the analysis, hiking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nd present-day hiking blog posts related to three famous mountains in Korea were examined. Findings show that people stayed in the mountains for a long time in the Joseon Dynasty, concentrating on the landscape deeply, and various academic and artistic cultures flourished there. In contrast, contemporary people regard the mountain merely as a space to access the peak and climb down quickly within a day. Therefore, the landscape of the mountain cannot be used as a cultural asset beyond natural scenery. However, there are several positive aspects to today's climbing culture. For example, it is easy to obtain information on climbing and feasible ways to conduct various sizes and concepts of hik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ransportation. In order to develop Korea's unique mountain enjoyment culture in the future, we should propose a ‘leisurely hike’ that allows people to enjoy the mountain scenery fully and sublimating it into culture, rather than being hiking that is limited to climbing.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create suitable spaces, arranging them appropriately to utilize the history and humanities context of the mountain, and connect local facilities and the workforce, thereby causing the development of various mountain enjoyment cultures.
Bibliography:Korean l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STI1.1003/JNL.JAKO202104961853818
ISSN:1225-1755
2288-9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