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서울의 일개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유행성 이하선염 집단발병

목적: 최근 일개 고등학교(S 고등학교)에서 유행성이하선염이 집단발병 하였기에 본 연구에서는 S 고등학교의 발생 현황을 알아보고 진단을 위해 시행한 PCR 검사의 역학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3년 4-7월 유행성이하선염이 의심되어 의료기관을 방문한 S 고등학교 학생들의 월별 분포와 학년별 수를 조사 하였고 이중 일부 학생에게 PCR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총 77명이 의료기관을 방문하였고 월별로 4월 1명, 5월 17명, 6월 45명, 7월 5명, 학년별로 1학년 26명, 2학년 28명, 3학년 23명이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Pediatric infection & vaccine Vol. 22; no. 1; pp. 1 - 6
Main Authors 강하라, Ha Ra Kang, 김성윤, Sung Yoon Kim, 차효현, Hyo Hyun Cha, 안영민, Young Min An, 박인아, In Ah Park, 강혜지, Hae Ji Kang, 은병욱, Byung Wook E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아감염학회 30.04.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최근 일개 고등학교(S 고등학교)에서 유행성이하선염이 집단발병 하였기에 본 연구에서는 S 고등학교의 발생 현황을 알아보고 진단을 위해 시행한 PCR 검사의 역학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3년 4-7월 유행성이하선염이 의심되어 의료기관을 방문한 S 고등학교 학생들의 월별 분포와 학년별 수를 조사 하였고 이중 일부 학생에게 PCR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총 77명이 의료기관을 방문하였고 월별로 4월 1명, 5월 17명, 6월 45명, 7월 5명, 학년별로 1학년 26명, 2학년 28명, 3학년 23명이었다. 볼점막도찰 PCR 검사를 받은 18명 중 15명은 증상 발생 3일이내에 검체를 채취하여 그 중 5명(33.3%)이 양성이었고 나머지 3명은 3일 이후에 검체를 채취하여 모두 음성이었다(P =0.24). 결론: 본 저자들은 S 고등학교의 유행성이하선염의 집단발병 양상을 조사하였다. PCR 검사는 증상 발생 후 3일 이내 시행하면 역학 조사시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겠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an outbreak of mumps affecting students in a high school (S high school) in Seoul, with an evaluation of the diagnostic utility of the mump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Methods: S high school students that presented to health care providers with mumps symptoms between April 2013 and July 2013 were surveyed for the monthly distribution of symptom onset and their grade level. Mumps PCR assays were performed using buccal swabs from some of these students. Results: During the survey period, 77 students presented with suspected cases of mumps. The monthly distribution of symptom onset was as follows: one in April, 17 in May, 54 in June, and five in July. With regard to grade level, 26 students were in their first year, 28 were in their second year, and 23 were in their third year. Of the 18 students tested with PCR assays, five had positive results. Samples were collected within 3 days of symptom onset in 15 of the 18 students, and positive PCR results were obtained in five of these 15 students. The PCR results of the remaining three students from whom samples were collected more than 3 days after the onset of symptoms were negative (P =0.24). Conclusions: We evaluated the epidemiological aspects of an outbreak of mumps in a high school. Mumps PCR might be epidemiologically useful if performed within 3 days of the onset of symptoms in suspected cases.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KISTI1.1003/JNL.JAKO201513251334851
G704-SER000001478.2015.22.1.006
ISSN:2384-1079
2384-1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