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검체에서 분리된 Aspergillus Species의 연구

Aspergillus는 가장 흔하게 감염을 일으키는 기회 감염균이다. 검사실에서 Aspergillus의 동정은 대부분 형태학적으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형태학적으로 동정이 안 되거나, 속 수준까지만 동정이 되는 까다로운 균들 동정하기 위하여 분자유전학적인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임상검체에서 분리한 475건의 Aspergillus는 Aspergillus fumigatus 257주(54.1%), A. niger 101주(21.3%), A. flavus 43주(9.1%), A. terreus 29주(6.1%), Aspergillus n...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Vol. 48; no. 1; pp. 15 - 21
Main Authors 이장호, Jang Ho Lee, 구본경, Bon Kyung K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임상검사과학회 30.03.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Aspergillus는 가장 흔하게 감염을 일으키는 기회 감염균이다. 검사실에서 Aspergillus의 동정은 대부분 형태학적으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형태학적으로 동정이 안 되거나, 속 수준까지만 동정이 되는 까다로운 균들 동정하기 위하여 분자유전학적인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임상검체에서 분리한 475건의 Aspergillus는 Aspergillus fumigatus 257주(54.1%), A. niger 101주(21.3%), A. flavus 43주(9.1%), A. terreus 29주(6.1%), Aspergillus nidulans2주(0.4%), 그리고 Aspergillus clavatus 1주(0.2%), 그리고 Aspergillus species는 42주(8.8%)이었다. 미동정 균주와 종 구분을 위한 11건의 염기서열분석에서는 Aspergillus fumigatus 5주, Aspergillus falvus 1주, Aspergillus terreus 1주, Aspergillus lentulus 1주 동정되었다. Aspergillus versicolor 2주, 그리고 1주 는 Emericella parvathecia로 동정되었다. Aspergillus의 92.2%는 형태학적으로 동정이 가능하였고, 8.8%는 종 수준의 동정이 불 가능하였다. 종 수준의 동정을 하기 위해서는 ITS와 D1D2를 이용한 염기서열분석이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Aspergillus is the most common opportunistic fungus causing infection. Aspergillus is the most morphologically identified in the laboratory. Recently, molecular genetic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identification of fungi that unidentified morphologically or identified genus level. Of 475 cases of Aspergillu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there were Aspergillus fumigatus 257 (54.1%), A. niger 101 (21.3%), A. flavus 43 (9.1%), A. terreus 29 (6.1%), Aspergillus nidulans 2 (0.4%), Aspergillus clavatus 1 (0.2%), and the Aspergillus species 42 (8.8%). Eleven cases of unidentified or identified at the genus level included Aspergillus fumigatus 5, Aspergillus falvus 1, Aspergillus terreus 1, and Aspergillus lentulus 1 was identified in the sequencing of the strain level. It was identified as Aspergillus versicolor 2, and Emericella parvathecia 1. 92.2% of Aspergillus was identified as a possible morphological, 8.8% could not be identified at the species level. Sequence-based molecular analysis using the ITS and D1D2 is considered useful for identification of the species level.
Bibliography: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KISTI1.1003/JNL.JAKO201612460474675
G704-SER000003945.2016.48.1.004
ISSN:1738-3544
2288-1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