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스릴러 영화의 여성 캐릭터 분석

살인범죄를 다룬 한국 스릴러 영화를 보고 난 후 여성 관객은 픽션 속 살인마 캐릭터의 행위를 현실에서 두려워하게 된다. 한국 스릴러 영화에서 설정한 희생양 혹은 피해자 캐릭터의 성별이 여성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현실에서의 강력범죄의 피해자는 여성이 많은 것이 사실이지만 영화와 같은 대중 매체에서의 이미지 재생산은 결국 사회적으로도 영향력을 갖기 때문에 제작자는 이야기가 지닌 사회적인 책임을 인식하고 캐릭터를 만들 때에 신중한 태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상업 스릴러 영화들을 캐릭터의 성별을 기준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7; no. 6; pp. 259 - 269
Main Authors 배유리, Bae Yu R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12.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살인범죄를 다룬 한국 스릴러 영화를 보고 난 후 여성 관객은 픽션 속 살인마 캐릭터의 행위를 현실에서 두려워하게 된다. 한국 스릴러 영화에서 설정한 희생양 혹은 피해자 캐릭터의 성별이 여성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현실에서의 강력범죄의 피해자는 여성이 많은 것이 사실이지만 영화와 같은 대중 매체에서의 이미지 재생산은 결국 사회적으로도 영향력을 갖기 때문에 제작자는 이야기가 지닌 사회적인 책임을 인식하고 캐릭터를 만들 때에 신중한 태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상업 스릴러 영화들을 캐릭터의 성별을 기준으로 이야기 안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상업 스릴러 영화에서의 피해자 캐릭터는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그들은 인격이 있는 주체로서의 모습을 보이기보다는 이야기를 진행시키기 위한 부수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주인공이 여성인 경우와 여성이 가해자로 등장하면 남성과는 달리 대부분이 그 행동의 동력을 모성에 두고 있었다. 이는 모성의 신성화와 별개로 임신과 출산을 경험하지 않은 여성의 능력을 스릴러에서 보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여성이 피해자가 되는 것이 당연하다는 듯한 서사는 이미 한국 스릴러 내에서 과잉되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아가씨>, 국외에서는 <나를 찾아줘>처럼 여성 캐릭터가 본인의 욕망에 따라 주체적으로 움직이며 단순히 내러티브의 도구로 쓰이지 않은 영화에 대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그 여성 주인공들이 이야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여성 캐릭터의 다양성 확립을 위한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After watching a Korean thriller film, dealing with the crime of a murder, female audiences are afraid of that in reality. This is because the sex of most sacrifice or victim characters set in Korean thriller films is female. It is true that most victims of violent crimes, in reality, are women, but in the reproduction of images in mass media like a film, the images of women in the fiction affect the images of women in reality, and finally, they come to have a social influence. Thus, even if the story is a fiction, the persons who make up a story should recognize its social responsibility and should have a cautious attitude in creating a character.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d Korean commercial thriller films organizing them according to the character`s sex and role performed in the story. As a result, there were overwhelmingly more female victims in the Korean commercial thriller films, and they mostly played a subordinate role to progress the story rather than showing an image as a subject with a personality. In addition, in most cases in which women were the main characters or they appeared as attackers, the power of action was based on maternalism unlike men were the main characters. This means that apart from maternal sanctification, the ability of women who have not experienced pregnancy and childbirth can not be seen in the thriller. The narratives that women have become victims have already been surplus in the Korean thriller. Therfore, in order to overcome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movies in which the female characters move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desires. like thi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emale characters that appear in Korean commercial thriller films and investigate their impacts on the stories to propose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the character making for the establishment of female characters` diversity.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31&idx=684
G704-001069.2016.17.6.012
ISSN:1598-8635
2713-5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