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가지 경향의 그로테스크 비교 연구 -빈 행동주의와 폴 맥카시의 작품을 중심으로
20세기 중반 이후의 현대미술에서 과격한 행위와 불쾌한 신체성을 자신 예술의 원동력으로 삼은 작가 중 빈 행동주의자들과 폴 맥카시는 단연 돋보인다. 특히, 현대인의 소외의식과 직접 연결된 이들 퍼포먼스의 심리적 원천과 조형적 특수성은 모두 탄력적이고 관용적인 현대 그로테스크 미학에 기댄다. 그래서 이들의 예술은 그로테스크 이론을 작품 비평의 주요 도구로 삼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기에 더할 나위 없다. 무엇보다도, 각각 차별되는 그로테스크 전개 양상을 보여주는 이들 작품을 비교하면서 현대 그로테스크 이론의 두 축인 카이저와 바흐친...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18; no. 2; pp. 473 - 48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Cover
Summary: | 20세기 중반 이후의 현대미술에서 과격한 행위와 불쾌한 신체성을 자신 예술의 원동력으로 삼은 작가 중 빈 행동주의자들과 폴 맥카시는 단연 돋보인다. 특히, 현대인의 소외의식과 직접 연결된 이들 퍼포먼스의 심리적 원천과 조형적 특수성은 모두 탄력적이고 관용적인 현대 그로테스크 미학에 기댄다. 그래서 이들의 예술은 그로테스크 이론을 작품 비평의 주요 도구로 삼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기에 더할 나위 없다. 무엇보다도, 각각 차별되는 그로테스크 전개 양상을 보여주는 이들 작품을 비교하면서 현대 그로테스크 이론의 두 축인 카이저와 바흐친의 입장을 환기할수 있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 약간의 시간적, 지리적 차이를 두고 활동한 이 두 작가군은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서 차이점과 유사점을 동시에 지닌다. 제의적 가치와 리비도의 파괴적 에너지를 창작의 전면에 내세우는 빈 행동주의자들과 현대 소비사회가 탄생시킨 신화들을 해체하며 개인에게 향하는 사회의 권력을 변질시키는 폴 맥카시는 다른 방식이지만 모두 개인의 억눌린 욕망이 무질서하게 표출되는 장면을 재현한다. 바로 이러한 재현을 통해 이들은 사회와 역사의 권위를 해체하고 개인의 주체적 발현을 시도하는데, 이때 그로테스크는 재현의 도구이자 탐미의 대상으로서 작품의 사회적 언어를 구성하는 데에 참여한다. 나아가, 사진과 비디오로 기록된 이들의 잔혹한 퍼포먼스는 하나의 `신체 정치학`으로서 현대 그로테스크의 다양한 변이와 창조적 잠재력을 확인시켜준다. 이들이 보여주는 그로테스크는 장식적 기괴함과 선악의 이항 대립을 넘어서 존재의 복잡한 위기의식과 연결되는 현상으로서 현대미술, 특히 아브젝시옹을 전면에 내세운 신체미술의 전위적인 저항의식과 반미학적 쾌감에 직접 관여한다.
Of all the artists who have considered violent actions and the unpleasant physical body within contemporary arts since the mid-20thcenturyasthedrivingforcefortheirart, the Viennese actionists and Paul McCarthy stand out. In particular, the psychological resourc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ir performance art are directly connected to contemporary people`s sense of alienation and are dependent on the flexibility and tolerance for the grotesque aesthetics of today. That is why their art is perfect at a time when verifying those grotesque theories can serve as an essential means of criticizing art. More than anything else, it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is possible to draw the attention of people to positions taken by Kayser and Bakhtin, who are the axis of the modern grotesque theory, by comparing their works that display differentiated aspects of the grotesque. The two artist groups who conducted artistic activities in different areas and at times exhibited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erms of contents and the formality of their works of art at the same time. The Viennese actionists who pushed for ritual value and the destructive energy of the libido and Paul McCarthy who changed the social influence directed toward individuals while dismantling myths created by the modern consumer society re-enacted scenes where individuals` pent-up desire is expressed in a disorderly manner. Through this re-enactment, they attempted to dismantle the authority of society and history and realize the individuals` independent expression. At that time, the grotesque was involved when their art was founded as a social language by means of re-enactment and the subject to aestheticism. Furthermore, their cruel artistic performances recorded through photos and videos verify the diversified variations and creative potential of modern grotesque as `body politics`. Their grotesque art goes far beyond the decorative strangeness and binary opposition between right and wrong to be linked to a complicated sense of crisis,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avant-garde resistance and anti-aesthetic pleasure of body arts, particularly abjection.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33&idx=759 G704-001069.2017.18.2.019 |
ISSN: | 1598-8635 2713-59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