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집단 면담을 통한 초등교사의 과학 체험학습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연구의 목적은 과학 체험학습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초등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학교 현장의 분위기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과학 체험학습의 활동 경험이 풍부한 5명의 초등교사와 초점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체험학습의 운영실태, 과학체험학습의 운영, 계획 수립 및 진행, 평가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예산에 대한 고민을 가장 먼저 꼽았으며, 과학교과와 연계하여 체험학습을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하여 부담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과학 체...
Saved in:
Published in | 과학교육연구지 Vol. 42; no. 2; pp. 182 - 197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0.08.2018
과학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연구의 목적은 과학 체험학습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초등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학교 현장의 분위기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과학 체험학습의 활동 경험이 풍부한 5명의 초등교사와 초점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체험학습의 운영실태, 과학체험학습의 운영, 계획 수립 및 진행, 평가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예산에 대한 고민을 가장 먼저 꼽았으며, 과학교과와 연계하여 체험학습을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하여 부담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과학 체험학습시 과학지식에 대한 전문적 이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과학교과 전담 교사가 있을 경우 협업의 어려움을 꼽았다. 전체적으로 과학 체험학습의 교육적 효과보다 예산이나 장소, 행정적 편의성 등을 먼저 고려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체험학습 주제 선정과 방법, 교육적 기대효과, 고민사항을 확인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ce and the atmosphere of school fields in depth in the course of conducting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For this study,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had rich experiences in science field studies. Through interviews, the actual state of experiential learning operation, the operation of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including planning, progress and evalu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oper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eachers were most concerned about budget, and were burdened with curriculum reconstruction for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In addition, teachers expressed their lack of expert scientific knowledge with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and difficulties with collaboration with science-specialized teachers. In sum, teachers consider budget, site, and administrative convenience first, rather than effects of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selection of topics, methods,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problems of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topics, which were difficult to identify in previous studies. |
---|---|
Bibliography: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ISTI1.1003/JNL.JAKO201828458594965 http://dx.doi.org/10.21796/jse.2018.42.2.182 |
ISSN: | 1225-3944 2733-4074 |
DOI: | 10.21796/jse.2018.42.2.1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