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en ODA 요건에 따른 산림 분야 공적개발원조 대상국 탐색
전 세계 산림 면적이 여전히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산림을 포함한 육상생태계의 보전은 지구 공동체가 함께 달성해야 할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하나로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대상국은 전통적으로 국가이익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으나 최근 글로벌 규범인 지속가능발전목표가 국내의 공적개발원조 전략에 내재화됨에 따라 산림 부문 ODA 대상국 탐색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 파괴가 심한 개도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생물다양성 보전, 사막화 방지 측면에서 국가의 경제·...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산림과학회지 Vol. 111; no. 2; pp. 330 - 344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산림과학회
30.06.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86-6613 2586-6621 |
DOI | 10.14578/jkfs.2022.111.2.330 |
Cover
Summary: | 전 세계 산림 면적이 여전히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산림을 포함한 육상생태계의 보전은 지구 공동체가 함께 달성해야 할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하나로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대상국은 전통적으로 국가이익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으나 최근 글로벌 규범인 지속가능발전목표가 국내의 공적개발원조 전략에 내재화됨에 따라 산림 부문 ODA 대상국 탐색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 파괴가 심한 개도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생물다양성 보전, 사막화 방지 측면에서 국가의 경제·사회·환경 부문의 이행 준비 및 필요성을 분석하여 ‘그린 ODA’에 충족될 수 있는 협력 대상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산림 협력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진 아시아 국가에서 나아가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국가로 산림 협력의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량·에너지·수자원·산불 등 산림 전용요인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하여 녹색기술과의 융·복합을 추진하고 사업 활동과 재원, 참여자의 다각화를 통해 산림분야 양자 ODA를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산림 부문 양자 협력 대상국 범위를 확대하는데 있어 산림 파괴가 진행 중인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While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has continued globally, global society has been making efforts to prevent deforestation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Reforest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is link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such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eradication of poverty and upholding of human rights. Fores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restores the global forest land, and increases the public benefit. Bilateral forest ODA projects of the Republic of Korea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most of those projects have currently been concentrated in Asian countries. Selecting recipient countries for forest ODA requires more comprehensive approach since the global goal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widely adapted to ODA strategic plans. We proposed potentially promising countries that are eligible for receiving ‘Green ODA’ in perspective of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 to implement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degradation (REDD+), conserving biodiversity, and combating desertification.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s that forestry cooperation could be expanded from Asian countries more toward South America and African countries. In addition, we emphasized the need to promot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with green technology to fundamentally solve the negative impacts of deforestation such as food, energy, water resource shortages, and forest fires. We advocated expanding bilateral ODA in the forestry sector through diversification of project activities, financial sources, and participants. Our study can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long-term strategies to expand bilateral cooperation in the forestry sector.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ISTI1.1003/JNL.JAKO202218754416770 |
ISSN: | 2586-6613 2586-6621 |
DOI: | 10.14578/jkfs.2022.111.2.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