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산업단지 유형 개발 연구: 네트워크형 산업단지

기존의 산업단지 개발은 대규모 단일 공간 집적형태로 신규 부지를 활용하여 개발하는 방식이나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스마트한 기술적용과 융복합화를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입지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산업단지 공급유형으로 단일공간에 대규모로 집적하는 형태가 아닌 다수의 공간에 분산 배치하여 연계하는 방식으로서 ‘네트워크형 산업단지’를 제시하였다. 새로운 입지모델 개발을 위해 기업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약 89%의 기업이 네트워크형 산업단지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동 산단의 활성화를 위한 조건으로서 ‘상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20; no. 4; pp. 522 - 535
Main Authors 이현주, Hyeon-joo Lee, 김태균, Tae-gyun Kim, 최대식, Dae-sik Choi, 이은엽, Eun-yeob Lee, 송영일, Youngil S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경제지리학회 31.12.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기존의 산업단지 개발은 대규모 단일 공간 집적형태로 신규 부지를 활용하여 개발하는 방식이나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스마트한 기술적용과 융복합화를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입지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산업단지 공급유형으로 단일공간에 대규모로 집적하는 형태가 아닌 다수의 공간에 분산 배치하여 연계하는 방식으로서 ‘네트워크형 산업단지’를 제시하였다. 새로운 입지모델 개발을 위해 기업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약 89%의 기업이 네트워크형 산업단지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동 산단의 활성화를 위한 조건으로서 ‘상호 보완기능 형성’, ‘결절지간 교통편리성’을 선택하였다. 네트워크형 산업단지는 도시공간과의 개방·연계 지향 및 기반인프라 공유 등을 통해 저비용·고효율화 산단으로 기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location model to support the application of smart technology and confluenc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this study, we propose ‘network-type industrial complex’ as a method to link several industrial integrated spaces which are dispersed in an area.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of companies in order to develop a new location model, about 89% of companie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network-type industrial complex. As a condition for activa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complementary function formation’, and ‘convenience of nodular transportation’ were select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upply low-cost, high-efficiency industrial complexes through opening and linking with urban space and infrastructure sharing.
Bibliography: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1708642733281
ISSN:1226-8968
2713-9115
DOI:10.23841/egsk.2017.20.4.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