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도 관속식물상 재검토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홍도의 관속식물상을 연구하였다. 생물다양성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과거 홍도 식물상 연구들에서 수집된 표본 검토와 함께, 본인들이 2003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22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과거에 채집된 것과 금번조사 표본을 종합검토한 결과, 홍도의 관속식물은 102과 296속 425종 6아종 41변종으로 총 472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들 중 111 분류군은 이번 조사에서 새로이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6분류군의 형태적 특징과 생육지를 기록하였다. 또한, 분류학적으로 재검토 및...
Saved in:
Published in | Sigmul bunryu hag-hoeji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51; no. 3; pp. 205 - 249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물분류학회
30.09.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8318 2466-1546 |
Cover
Summary: |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홍도의 관속식물상을 연구하였다. 생물다양성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과거 홍도 식물상 연구들에서 수집된 표본 검토와 함께, 본인들이 2003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22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과거에 채집된 것과 금번조사 표본을 종합검토한 결과, 홍도의 관속식물은 102과 296속 425종 6아종 41변종으로 총 472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들 중 111 분류군은 이번 조사에서 새로이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6분류군의 형태적 특징과 생육지를 기록하였다. 또한, 분류학적으로 재검토 및 재동정된 29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주석을 기술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붉은사철란, 수정목, 신안새우난초, 홍도원추리 등 4분류군은 홍도가 국내에서 분포 북한계지임이 밝혀졌다. 한편 흑산도비비추와 홍도서덜취의 분포는 국내에서 홍도와 인근 섬에만 분포가 한정되었다. 이들에 대한 분포도를 기재하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I급에 나도풍란과 풍란 2분류군, II급에 대흥란, 새깃아재비, 석곡, 신안새우난초, 혹난초 등 5분류군으로 총 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국립생물자원관에서 발간한 적색자료집에 따른 희귀식물은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40분류군이 보고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flora of Hongdo Island in Sinan-gun, Jeollanam-do, South Korea. Specimens collected from previous Hongdo flora studies were reexamined using a relevant biodiversity database, and field surveys were carried out 22 times from April of 2003 to October of 2020. Based on the specimens collected during both previous studies and this study, the identified vascular plants of Hongdo consisted of 472 taxa comprising 102 families, 296 genera, 425 species, 6 subspecies, and 41 varieties. Among them, 111 taxa are newly recorded in this study, and 6 taxa are described in detail in terms of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abitat. Also, 29 taxa were reviewed or re-identified with corresponding taxonomic annotations. In Korea, Hongdo represents the northern distributional limit of the 4 taxa of Goodyera biflora, Damnacanthus major, Calanthe aristulifera, and Hemerocallis hongdoensis. Moreover, Hosta yingeri and Saussurea polylepis are endemic to Hongdo and nearby islands in Korea. Distribution maps of these species were prepared. Protected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7 taxa consisting of 2 taxa of level I, specifically Sedirea japonica and Neofinetia falcata, and 5 taxa of level II, which were Cymbidium macrorhizon, Woodwardia japonica, Dendrobium moniliforme, Calanthe aristulifera, and Bulbophyllum inconspicuum. Red list plants as design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umbered 11 taxa. Naturalized plants numbered 40 taxa. |
---|---|
Bibliography: |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128837795052 |
ISSN: | 1225-8318 2466-15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