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건축물의 보존을 위한 역사적 가치와 건축적 가치에 관한 연구 -부산 워커하우스를 중심으로

워커하우스는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커다란 흔적을 남긴 한국전쟁의 상흔 중 하나이며 이 건축물이 현재 시점에서 어떤 역사적 가치와 건축적 가치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러한 역사 근대건축물에 대한 가치는 또한 어떻게 판단하고 이해할 것인가. 오래된 건축물은 그 성능이나 가치에 따라서 철거 혹은 계속 생명을 연장한다. 이를 판단할 수 있는 측정도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찾았으며 그 기준은 역사적 가치와 건축적 가치로 나눠서 해당 건물이 가진 존재유무의 지속성을 가늠하는 계기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복잡하게 변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3; no. 1; pp. 511 - 522
Main Authors 조정형, Cho Joung Hyung, 하봉규, Ha Bong Gyu, 이재정, Lee Jae Jung, 남인용, Nam In Y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28.02.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워커하우스는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커다란 흔적을 남긴 한국전쟁의 상흔 중 하나이며 이 건축물이 현재 시점에서 어떤 역사적 가치와 건축적 가치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러한 역사 근대건축물에 대한 가치는 또한 어떻게 판단하고 이해할 것인가. 오래된 건축물은 그 성능이나 가치에 따라서 철거 혹은 계속 생명을 연장한다. 이를 판단할 수 있는 측정도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찾았으며 그 기준은 역사적 가치와 건축적 가치로 나눠서 해당 건물이 가진 존재유무의 지속성을 가늠하는 계기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복잡하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의 가치기준으로 보는 과거의 건축물 가치를 평가하고자 했고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정립과 측정도구를 찾아내어 사례 분석하였다. 유사한 근대 건축물과 함께 연구대상인 워커하우스를 평가함으로써 이 오래된 근대건축물의 존폐여부를 생각해보고, 이런 측정도구를 통한 가치판단의 폭을 넓혔으면 하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연구의 직접적인 대상인 워커하우스는 당시 유엔지상군사령부로 사용되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워커하우스는 존재가치에 대한 많은 의문이 제기되었다. 건축적 가치로 본다면 당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잡석을 사용하여 조적된 벽체와 일본식의 지붕구조로, 건축하던 시기가 급박하고 혼란스러웠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드러낸다. 역사적 가치로 현 시점에서는 보는 사람에 따라 없어져야 할 냉전시대의 상징이기도, 다른 한편으로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서 유엔군이라는 이름으로 참전했던 군인들에 대한 고마움을 느낄 수 있는 장소라고 여기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평가항목을 통해 도출된 바에 따라 보존으로 결정된다면, 이제 남는 것은 어떤 식을 활용할 것인가의 문제가 남는다. 이는 후속연구자들의 연구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이어지고, 원래의 목적은 물론이고 기념적이고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Walkerhouse is one of the of the Korean War, which left a great trace in modern Korean history, and we looked at what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values this building has at this point. How will the value of these historical modern buildings be judged and understood. Old buildings are demolished or continue to prolong their lives depending on their performance or value. The measurement tool to judge this was foun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 criteria were divided into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values, and it was thought that an opportunity to gauge the continuity of the building’s existence wa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ue of buildings in the past, which is viewed as a value standard for a complexly changing modern society. For the research method, theoretical establishment and measurement tools through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and cases studies had been conducted. By evaluating the Walkerhouse, the subject of research, along with similar modern buildings, I thought about whether this old modern building existed or not and expanded the scope of value judgment through these measurement tools. Walkerhouse, the direct subject of the study, was used as the UN Ground Forces Command at the time, but over the years, many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value of its existence. In terms of architectural value, it is metaphorically revealed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was urgent and confusing with walls and Japanese roof structures built using miscellaneous stones that were easily available around the time. Due to its historical value, it is a symbol of the Cold War that should disappear depending on the viewer at this point, and on the other hand, it is a place where you can feel gratitude for the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war under the name of the United Nations for freedom and peace of the Republic of Korea. As a result, if it is determined to be preserv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tems, what remains the question of which equation to use. This leads in various ways through research by follow-up researchers, and it is thought that it can play a commemorative and symbolic role as well as its original purpose.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67&idx=2089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3.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