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일개 종합병원에서 혈액제제 출고 현황

혈액제제(BPs)는 한정적인 자원이다. 혈액제제는 가장 적절하게 사용되어야 하지만 근거 기반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헤모글로빈 수치를 기준으로 혈액제제의 사용 적절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20년 11월 1일부터 2021년 10월 31일까지 병원에서 수행된 혈액공급 데이터는 병원의 디지털 종합의료정보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총 제공 건수는 21,303건이었고, 진료과별로 사용하는 농축적혈구제제의 공급 중 헤모글로빈 수치(>7.0 g/dL)의 경우는 1,173건으로 나타났다. 수혈의 오남용...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Vol. 54; no. 1; pp. 73 - 77
Main Authors 최호근, Ho-keun Choi, 최경숙, Kyung-suk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임상검사과학회 30.03.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3544
2288-1662
DOI10.15324/kjcls.2022.54.1.73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혈액제제(BPs)는 한정적인 자원이다. 혈액제제는 가장 적절하게 사용되어야 하지만 근거 기반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헤모글로빈 수치를 기준으로 혈액제제의 사용 적절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20년 11월 1일부터 2021년 10월 31일까지 병원에서 수행된 혈액공급 데이터는 병원의 디지털 종합의료정보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총 제공 건수는 21,303건이었고, 진료과별로 사용하는 농축적혈구제제의 공급 중 헤모글로빈 수치(>7.0 g/dL)의 경우는 1,173건으로 나타났다. 수혈의 오남용은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고, 수혈의 적절성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어, 각 의료기관은 수혈지침 평가지표를 검토하고, 수혈지침의 혈액제제 방출 현황 및 수혈지침의 교육프로그램을 점검하여 적절성을 평가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lood products (BPs) can only be obtained through blood donation and hence represent a finite resource. BPs should therefore be used conservatively. However, BPs are being used indiscriminately without ev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asons for the use of BPs and their appropriateness.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hemoglobin levels. Data were obtained from Nov 1, 2020, to Oct 31, 2021, from a hospital’s OCS/EMR systems. The BPs were dispensed in 21,303 cases, and the number of hemoglobin levels >7.0 g/dL or higher among red blood cell drugs used by each treatment department was 1,173 (>7.0 g/dL). The misuse of blood transfusions is increasing social costs, with the adequacy of transfusion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Hence, each medical institution should review the transfusion guideline evaluation index, check the status of the release of BPs, and institute educational programs covering transfusion guidelines and continually evaluate their adequacy.
Bibliography: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KISTI1.1003/JNL.JAKO202210559577502
ISSN:1738-3544
2288-1662
DOI:10.15324/kjcls.2022.54.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