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앞 사례를 통한 문화적 포용성 개념의 적용
본 연구는 도시 포용성의 함의를 영역성과 함께 관계성을 더해 확장하여, 사회적 포용성과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문화적 포용성’의 개념화 모델을 제시한다. 문화적 포용성은 관계의 필요와 공간의 연결, 행위를 통한 실행의 과정을 바탕으로 유기적·학습 관계의 형성 및 공적 공간을 중심으로 한 개방성의 창출, 다양한 주체의 실천으로 연계될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적 포용성의 개념을 ‘홍대앞’ 사례에 적용한다. 최근 홍대앞은 개별 주체 및 그룹·집단들(예술가, 주민, 관, 학생, 문화 활동가, 시민, 관광객 등)의 다양성을 보호할 수 있는...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22; no. 4; pp. 539 - 55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경제지리학회
31.12.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8968 2713-9115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도시 포용성의 함의를 영역성과 함께 관계성을 더해 확장하여, 사회적 포용성과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문화적 포용성’의 개념화 모델을 제시한다. 문화적 포용성은 관계의 필요와 공간의 연결, 행위를 통한 실행의 과정을 바탕으로 유기적·학습 관계의 형성 및 공적 공간을 중심으로 한 개방성의 창출, 다양한 주체의 실천으로 연계될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적 포용성의 개념을 ‘홍대앞’ 사례에 적용한다. 최근 홍대앞은 개별 주체 및 그룹·집단들(예술가, 주민, 관, 학생, 문화 활동가, 시민, 관광객 등)의 다양성을 보호할 수 있는 환경 조성, ‘홍대앞 놀이터’, ‘걷고싶은 거리’, ‘경의선 책거리’ 등의 공적 공간 형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수평적인 관계망, 접속 등의 요소가 공존의 가치로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suggests a conceptualization model of ‘cultural inclusiveness’ organically connected to social inclusiveness, by expanding the implications of urban inclusiveness to the domain and relationship. Based on the process of necessity of relation, connection of space, and execution of act, the cultural inclusiveness could be connected to the formation of organic/learning relation, the creation of openness focusing on public space, and the practice of diverse subjects. Concretely, the concept of cultural inclusiveness is applied to the case of ‘Hongdae-ap’. The recent Hongdae-ap is showing the value of coexistence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 that could protect the diversity of individual subjects and groups(artists, residents, government officials, students, cultural activists, citizens, tourists, and etc.), the formation of public space such as ‘Hongdae-up playground’, ‘pedestrian-friendly street’, and ‘Gyeongui- Line book street’, social network service & horizontal network, and access. |
---|---|
Bibliography: |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1911364474994 |
ISSN: | 1226-8968 2713-9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