뽕나무버섯속 버섯의 분류와 산림생태학적 및 병리학적 중요성

산림에서 나는 뽕나무버섯속(Armillaria)은 봄부터 가을에 걸쳐 나는 식용버섯으로 유기물을 분해하는 백색부후 부생균(saprophyte)이면서 동시에 나무를 죽이는 뿌리기생 병원균으로 비절대기생체(nonobligate parasite) 또는 임의기생체 (facultative parasite)이다. 이들은 산림생태계에서 자연간벌과 천이에 큰 기여를 한다. 이 속에는 전세계 40여 종이 알려져 있고 기주식물로는 침엽수, 활엽수, 목본덩굴식물과 초본식물도 포함한다. 이 버섯의 유전적 개체(genet)는 산림에서 수명이 길어서, 약...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g gynnhaghoi ji Vol. 45; no. 1; pp. 1 - 13
Main Authors 구창덕, Chang-duck Koo, 김진건, Jin-gun Kim, 이화용, Hwa-yong Lee, 박용우, Yong-woo Park, 이희수, Hee-su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균학회 31.03.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산림에서 나는 뽕나무버섯속(Armillaria)은 봄부터 가을에 걸쳐 나는 식용버섯으로 유기물을 분해하는 백색부후 부생균(saprophyte)이면서 동시에 나무를 죽이는 뿌리기생 병원균으로 비절대기생체(nonobligate parasite) 또는 임의기생체 (facultative parasite)이다. 이들은 산림생태계에서 자연간벌과 천이에 큰 기여를 한다. 이 속에는 전세계 40여 종이 알려져 있고 기주식물로는 침엽수, 활엽수, 목본덩굴식물과 초본식물도 포함한다. 이 버섯의 유전적 개체(genet)는 산림에서 수명이 길어서, 약 2,000여년을 살면서 약 960 ha의 면적까지도 퍼져나가기도 한다. 간벌 등 숲가꾸기로 그루터기가 많이 생기는 요즘 산림에서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산촌에서 중요한 소득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뽕나무버섯에 대하여 정확한 동정이 필요하다. 이 총설에서는 뽕나무버섯속의 분류학적 문제와 국내 7개 분포 종의 형태에 의한 분류검색표, 산림생태학적 및 산림병리학적 의미를 토의하였다. Armillaria species are non-obligate root pathogens, as well as facultative parasites. The genus consists of about 40 species with worldwide distribution that are difficult to identify morphologically. Their hosts include conifers, hardwoods, vines, and even herbs. These fungi contribute to natural thinning and succession of vegetation in forests and decompose wood to develop edible fruiting bodies from spring to autumn. Its genets have a lifespan of up to 2000 years and have been found to occupy as much as 960 ha of forest land. Recently, forest tending work such as thinning of forests has resulted in the creation of tree stumps that support the growth of Armillaria, and these mushrooms have become an income source in mountainous areas. Therefore, identification of these species is needed. We review the difficulties in identification, suggest a species identification key for Korean indigenous species, and discuss the significance of Armillaria in terms of forest ecology and plant pathology.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KISTI1.1003/JNL.JAKO201714563376790
G704-001216.2017.45.1.006
ISSN:0253-651X
2383-5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