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방염법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텍스타일디자인 개발연구의 가치
2차 산업혁명 이후 섬유산업은 지금까지 꾸준히 발전해왔다. 그러나 함께 증가한 폐수 및 폐기물로 또 다른 환경적 문제를 만들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텍스타일 각계의 많은 노력이 펼쳐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목적은 지속가능한 유형의 텍스타일 개발연구와 가치를 확산함에 있어 친환경적 왁스방염을 사용한 전통 기법과 2010년 이후 급성장된 디지털날염기법을 통해서 디자인과정을 기록하고 실험하여 교육현장 현재시점의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내용과 방법은 첫째, 지속가능성 개념과 발생 배경 등 이론적 고찰을 한다. 또한 산업...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2; no. 1; pp. 137 - 14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28.02.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2.1.11 |
Cover
Summary: | 2차 산업혁명 이후 섬유산업은 지금까지 꾸준히 발전해왔다. 그러나 함께 증가한 폐수 및 폐기물로 또 다른 환경적 문제를 만들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텍스타일 각계의 많은 노력이 펼쳐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목적은 지속가능한 유형의 텍스타일 개발연구와 가치를 확산함에 있어 친환경적 왁스방염을 사용한 전통 기법과 2010년 이후 급성장된 디지털날염기법을 통해서 디자인과정을 기록하고 실험하여 교육현장 현재시점의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내용과 방법은 첫째, 지속가능성 개념과 발생 배경 등 이론적 고찰을 한다. 또한 산업현장의 전문가들의 의견도 함께 수집한다. 둘째, 다양한 시각적 표현개발을 위해 전통 섬유기법을 활용한다. 이를 심화하기 위해 연구자가 선택한 소이왁스 방염법을 다양한 섬유소재에 실험·실습을 하고, 소이왁스 방염 텍스쳐를 살린 모티브를 디지털 기법을 활용해 색상정리와 리-디자인 한다. 셋째, 앞선 연구를 적용한 섬유소재들을 KATRI(한국의류 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견뢰도 및 염색성, 중금속 등 오염도 측정을 한다. 디지털 프린팅기법을 적용한 결과물을 한차례 더 추가 섬유시험을 의뢰하고 결과를 분석해 본다. 넷째, 이를 환경 친화적 기법의 텍스타일디자인 개발과정으로 제시해볼 수 있도록 취득된 세탁, 땀, 마찰, 일광견뢰도 측정과 인체 유해성분 검출 확인을 분석해본다. 최종 소이왁스방염 테스트결과 다섯 가지 종류의 직물 중 대체로 혼방 직물보다는 100% 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천연직물의 견뢰도가 가장 우수했다. 또 아릴아민 등 인체에 유해한 유해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두 번째 직물테스트 결과에서도 염색 견뢰도, 섬유제품의 KC안전도검사를 통해 양호한 pH와 포름알데히이드 성분, 알러지성 염료등의 유해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렇게 환경적 과정을 중시하고 전통기법을 활용한 디자인은 다변화하는 현대 텍스타일디자인의 산업적 기술을 이용하여 소비선호도 높은 디자인으로 제시하고 문화적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다.
The textile industry has been steadily developing since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At the same time, the increased dyeing waste has created another environmental problem, and much effort is being made in the textile industry to overcome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rd and experiment the design process through traditional techniques using Eco-friendly wax batik and digital techniques in spreading sustainable types of textile development and value. First, the research shall be theoretically considered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and the background of its occurrence. It also collects opinions from textile experts. Second, traditional techniques are utilized to develop various visual representations. To deepen experiment and practice soywax resist dyeing on various textiles, and use digital techniques to organize and re-design motifs that utilize the textures. Third, the textiles applied with the previous research are requested to KATRI to measure the level of contamination such as turbidity, chromatin, and heavy metals. I requested additional test and analyze the results of applying digital printing. Fourth, it analyzes the measurement of laundry, sweat, friction, and daylight turbidity acquired and the detec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humans so that it can be presented as a development process of textile design of Eco-friendly ways. As a results, among the five types of fabrics, natural fabrics consisting of 100% of the ingredients were generally the best and no harmful substances such as arylamine were detected. In the second test results, no harmful ingredients such as good pH, formaldehyde, and allergic dyes were detected through dyeing and KC safety tests of textile products. Using the industrial technology of textile design, which values environmental processes and uses traditional techniques, consumption preferences can be presented as high designs and cultural values can be created.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58&idx=1798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2.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