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가상 착장 시스템을 이용한 래시가드 패턴 연구 -30대 여성을 중심으로
중년 여성은 임신, 출산으로 인해 신체의 프로포션이 변화하기 시작한다. 30대 여성의 신체 변화로 의복의 맞음새에 대한 만족 욕구 또한 커지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30대 중년여성 아바타를 활용하여 체형에 적합성이 좋은 래시가드 패턴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3D 가상 착장프로그램 CLO를 이용하여 30대 여성의 인체 가상모델을 제작한다. 브랜드별 수집한 래시가드 패턴을 Yuka apparel CAD system을 이용하여 제도한 후 3D 가상착장 시뮬레이션 하여 외관평가 한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SPSS 22.0...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2; no. 6; pp. 299 - 31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12.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2.6.20 |
Cover
Summary: | 중년 여성은 임신, 출산으로 인해 신체의 프로포션이 변화하기 시작한다. 30대 여성의 신체 변화로 의복의 맞음새에 대한 만족 욕구 또한 커지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30대 중년여성 아바타를 활용하여 체형에 적합성이 좋은 래시가드 패턴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3D 가상 착장프로그램 CLO를 이용하여 30대 여성의 인체 가상모델을 제작한다. 브랜드별 수집한 래시가드 패턴을 Yuka apparel CAD system을 이용하여 제도한 후 3D 가상착장 시뮬레이션 하여 외관평가 한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SPSS 22.0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 ANOVA 및 사후검증으로 Duncan-test,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래시가드 패턴은 앞목너비에서 0.5㎝ 늘려주고, 뒤목너비에서 1.5㎝ 줄여준다. 가슴둘레 부분에서는 앞과 뒤 모두 0.5㎝ 늘려주고, 허리부분에서 앞뒤 0.3㎝늘려주며 품은 앞품과 뒤품에서 같은 수치로 0.3㎝줄여 주어야 겨드랑이와 견갑골, 허리부위의 군주름 현상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등길이와 앞길이의 차이는 4㎝가 적정하며 상완둘레 32㎝, 소매길이 60㎝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 30대 성인여성의 래시가드 연구패턴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30대 소비자의 래시가드 적합성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래시가드 패턴 개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가상착의 시스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 되었으며 래시가드 실제착의 실험에서도 같은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일반화 하는 데 있어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향 후 30대 성인여성의 군주름래시가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래시가드 패턴을 개발함으로써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고 레저스포츠 의류산업 시장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Middle-aged women begin to change their body proportions due to pregnancy and childbirth. As a woman in her 30s changed her body, her desire for satisfaction with the fit of clothes also increas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esent a rash guard pattern suitable for body type by using an avatar of a middle-aged woman in her 30s. The research method creates a virtual model of a woman in her 30s using the 3D virtual clothing system 3D CLO Modelist program. After systematizing the Rashguard pattern collected by brand using the Yuka apparel CAD system, the two-dimensional pattern is simulated three-dimensionally to evaluate the appearance after virtual clothing.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 Duncan-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Statistics 22.0 program ANOVA analysis and post-verification. The rash guard pattern suggest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ncreases the width of the front neck by 0.5㎝ and reduces the width of the back by 1㎝. In the chest circumference, increase both front and back by 0.5㎝, at the waist by 0.3㎝ in front and back, and decrease by 0.3㎝ in the front and back of the chest by the same val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ck length and the front length is 4㎝,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upper arm circumference is 32㎝ and the sleeve length is 60㎝. As a result of the above, the rash guard research pattern of adult women in their 30s was presented. This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a rash guard pattern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consumers in their 30s. This study was studie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virtual wearing system, and caution should be exercised in generalizing the same research results in the rash guard actual wearing experiment.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rash guards by body type of adult women in their 30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In addition, by developing a rash guard patter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meet consumer demands and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leisure sports apparel industry.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66&idx=2026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2.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