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홈 IoT 서비스 사용 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스마트 홈(Smart home) IoT 서비스는 인터넷망의 특성인 확장성, 실시간성, 편리성 등을 배경으로 우리 생활에 중요 영역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급속한 성장과 함께 지원기기 부족, 부족한 기능, 미흡한 정보 제공, 개인정보 보안에 대한 두려움, 음성인식 미흡과 같은 주요 문제점들이 언급되고 있다. 기존 연구는 스마트 홈의 보안, 기술적인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사용자에 대한 사용 행태, 사용 동기, 사용 맥락 등 전반적인 사용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는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 스마트 홈 Io...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18; no. 2; pp. 1 - 1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Cover
Summary: | 스마트 홈(Smart home) IoT 서비스는 인터넷망의 특성인 확장성, 실시간성, 편리성 등을 배경으로 우리 생활에 중요 영역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급속한 성장과 함께 지원기기 부족, 부족한 기능, 미흡한 정보 제공, 개인정보 보안에 대한 두려움, 음성인식 미흡과 같은 주요 문제점들이 언급되고 있다. 기존 연구는 스마트 홈의 보안, 기술적인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사용자에 대한 사용 행태, 사용 동기, 사용 맥락 등 전반적인 사용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는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 스마트 홈 IoT 서비스 사용 동기에 관한 연구의 경우 긍정적인 요인에 한정되어 있어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기에 부족했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실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 홈 IoT의 성장을 저해하는 온·오프라인의 상호작용을 통한 경험요인과 사용 중단 의도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UX적 관점에서 사용성, 유용성, 감성의 측면으로 분류하였고, 사용자 저항 이론을 기반으로 사용 중단 의도와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사용 중단 의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피드백`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제어`, `기회비용` 순으로 사용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IoT 서비스 제공자들의 전략수립에 있어 사용자 경험에서의 부정적인 요인들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도움 되고자 한다.
Smart home IoT is rapidly spreading in our daily life with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network, such as expandability, realtime use, convenience. However, following the rapid improvement, problems for instance, lack of adoptable devices in its early stage, offering insufficient functions or information and inadequate voice recognition is on the rise. To solve these problems, not indiscriminately widen the smart home IoT, but researches to encourage improving its quality are necessary. Existing researches are focusing on the security and technical aspects of a smart home, however, it is true that we are a shortage in the researches focusing on overall user experiences such as the user`s usage, motivation, and context. The researches about motivation concentrate mostly on the positive factor, thus they are limited to show new implications.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is searching the factors of use suspension based on user experience which hinders smart home IoT`s growth, aim to investigate the causality of interaction between on/off-line and use suspension. Redefined factors derived from interviews based on Resistance to Information Technology Implementation theory by theoretical consideration also investigated the factors of smart home IoT in UX aspect into 3 viewpoints; usability, utility, and emotion. The research model is designed based on these factors to find out the reason of use suspens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strategy, which makes subjects of domestic IoT market minimize negative factors based on UX aspect.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33&idx=794 G704-001069.2017.18.2.051 |
ISSN: | 1598-8635 2713-59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