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CG 캐릭터의 감성평가와 언캐니 밸리의 관계

이 연구는 CG 캐릭터의 감성평가와 언캐니 밸리의 현상의 관계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캐니 밸리는 로봇이 인간과 닮은 정도가 높아질수록 그 선호도 또한 올라가다가 어느 구간에 이르러 오싹함, 공포감, 불쾌감의 감정을 느끼게 되어 선호도가 급격히 하강하는 구간을 가리킨다. 최근 CG 캐릭터가 포함된 영화는 흥행성을 담보로 그 숫자가 날로 늘어나고 있다. 그에 따른 기술의 발전으로 CG 캐릭터의 사실적인 표현도 극대화되고 있지만, CG의 사실적인 표현에는 관객의 호불호가 갈리도 한다. 그 요인에는 언캐니 밸리 현상의 영향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1; no. 6; pp. 669 - 680
Main Authors 한혜진, Han Hye J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1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1.6.4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CG 캐릭터의 감성평가와 언캐니 밸리의 현상의 관계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캐니 밸리는 로봇이 인간과 닮은 정도가 높아질수록 그 선호도 또한 올라가다가 어느 구간에 이르러 오싹함, 공포감, 불쾌감의 감정을 느끼게 되어 선호도가 급격히 하강하는 구간을 가리킨다. 최근 CG 캐릭터가 포함된 영화는 흥행성을 담보로 그 숫자가 날로 늘어나고 있다. 그에 따른 기술의 발전으로 CG 캐릭터의 사실적인 표현도 극대화되고 있지만, CG의 사실적인 표현에는 관객의 호불호가 갈리도 한다. 그 요인에는 언캐니 밸리 현상의 영향을 고려해볼 수 있어 감성평가를 통해 그 관계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는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 번째, 언캐니 밸리에 대한 개념과 함께 신경 과학 및 컴퓨터 그래픽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최근의 언캐니 밸리 연구에 대해 알아보았다. 두 번째, 예비조사를 토대로 12종의 캐릭터를 선정하여 6쌍의 상반된 의미의 형용사를 사용하여 감성평가를 시행했다. 각각의 형용사에 의한 감성평가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선호도와 인간과의 유사성에 관련된 형용사 평갓값을 그래프 화하여 기존의 언캐니 밸리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못생긴-귀여운’과 ‘싫은-좋은’에 대한 평갓값이 상관관계가 매우 높았고, ‘인형같은’에 대한 평가는 단순함과 ‘리얼한’에 대한 평가는 복잡함과 연관이 깊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귀여운’은 CG 캐릭터의 중요한 감성평가 요소였다. 모리 마사히로의 언캐니밸리 곡선에 본 감성평가의 결과를 대입 해본 결과, CG 캐릭터에도 언캐니 밸리 현상이 유사하게 나타나 인간과의 유사성 및 선호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estimation and the phenomenon of Uncanny Valley on CG characters. The Uncanny Valley(UV) points to the certain section which human feel emotions of thrill, fear, feeling, and discomfort based on the preference and the degree of resemblance with human. Recently, the number of films produced by CG characters has been increasing. Along with the increase, the realistic expression of CG characters have been maximized throug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However, the realistic expression of CG sometimes make the audience feel uncomfortable, because it could be related to the Uncanny Valley phenomenon.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was researched by the affective estimation. Firstly, for investigating prior research, the concept of Uncanny Valley and the recent research in fields of neuroscience and computer graphic were investigated. Secondly, to the research of affective estimation, twelve characters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 were used. Subjects evaluated the character by grading from one to five points through six pairs of adjectives with opposite meanings, The correlation between evaluations by each adjective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re was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ugly-cute’ and ‘unlike-like’. In addition, there was deeply related between ‘doll-like’ and the simplicity, ‘real’ and the complex. In particular, ‘cute’ was an important factor of the affective estimation for CG characters. Moreover, the result of comparing to Mori Masahiro’s Uncanny Valley curve, the phenomenon of the UV appeared to CG charact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similarity of human and preference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affective estimation for defining the UV on CG characters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56&idx=1686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1.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