콤솔 멀티피직스를 이용한 2차원 탄소성 인장 암석권 모형에서 발생하는 전단열에 관한 수치 모사 연구
섭입 및 열개와 같이 대변형을 수반하는 지구동역학적 현상 발생은 암석권의 국지적인 약대의 발달이 필요하다. 이러한 약화 기작 중 하나인 전단열은 암석권의 온도를 국부적으로 높여 강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여 암석권 파괴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열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위하여 2차원 탄소성 인장 분지 모형을 제작하여 기존수치 모사 연구를 벤치마크하였다. 암석권의 항복강도, 인장 속도, 변형량- 및 온도-의존성 약화 현상 등을 조절하여 전단열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약화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전단...
Saved in:
Published in |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 23; no. 1; pp. 1 - 1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8.02.2020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064 2384-051X |
Cover
Summary: | 섭입 및 열개와 같이 대변형을 수반하는 지구동역학적 현상 발생은 암석권의 국지적인 약대의 발달이 필요하다. 이러한 약화 기작 중 하나인 전단열은 암석권의 온도를 국부적으로 높여 강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여 암석권 파괴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열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위하여 2차원 탄소성 인장 분지 모형을 제작하여 기존수치 모사 연구를 벤치마크하였다. 암석권의 항복강도, 인장 속도, 변형량- 및 온도-의존성 약화 현상 등을 조절하여 전단열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약화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전단열의 발생량은 암석권의 항복강도 및 인장 속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 모형인 항복강도 100 MPa, 인장 속도 2 cm/yr로 설정된 경우, 총 20 km 인장된 시점(0.025의 변형률)에서 ~ 50 K의 온도 상승을 보여주었다. 소성 변형 및 온도에 따른 약화가 포함된 경우에는, 더 효율적인 약화 기작이 더 강한 전단열의 생성으로 이어지는데 이러한 현상은 약화 기작과 전단열 발생 사이에 양성되먹임이 작용함을 지시한다. 또한 변형 초기에 급격한 전단열 발생량을 보여주지만, 변형이 지속되어 암석권의 강도가 약화되면 전단열 발생 속도가 최대 ~80% 감소했다. 이는 약화 기작이 포함된 경우 전단열은 비교적 손상되지 않은 상태인 암석권의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In the development of geodynamic structures such as subduction and rift zones, a weakening mechanism is essential for localized weak zone formation in the lithosphere. Shear heating, a weakening mechanism, generates short-wavelength temperature elevation in the lithosphere; the increased temperature can reduce lithospheric strength and promote its breakup. A two-dimensional elastoplastic extensional basin model was used to conduct benchmarking based on previous numerical simulation studies to quantitatively analyze shear heating. The amount of shear heating was investigated by controlling the yield strength, extensional velocity, and strain- and temperature-dependent weakening. In the absence of the weakening mechanism, the higher yield strength and extensional velocity led to more vigorous shear heating. The reference model with a 100-MPa yield strength and 2-cm/year extension showed a temperature increase of ~ 50 K when the bulk extension was 20 km (i.e., 0.025 strain). However, in the yield-strength weakening mechanism, depending on the plastic strain and temperature, more efficient weakening induced stronger shear heating, which indicates positive feedback between the weakening mechanism and the shear heating. The rate of shear heating rapidly increased at the initial stage of deformation, and the rate decreased by 80% as the lithosphere weakened. This suggests that shear heating with the weakening mechanism can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trength of relatively undamaged lithosphere.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EXPLORATION GEOPHYSICISTS https://kseg.jams.or.kr/co/main/jmMain.kci |
ISSN: | 1229-1064 2384-051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