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들의 시청 특징 분석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의 시청 특징으로 학습자와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유입과 접속’을, 학습자와 콘텐츠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반응과 구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 교과서 내용과 융합·영재교육이 주된 동영상인 유튜브 채널 ‘초등과학TV’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튜브 스튜디오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유입과 접속’ 분석 결과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는 외부 링크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가 가장...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과학교육연구지 Vol. 45; no. 1; pp. 118 - 128
Main Authors 정은주, Eunju Jeong, 손정우, Jeongwoo S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0.04.2021
과학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3944
2733-4074
DOI10.21796/jse.2021.45.1.118

Cov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의 시청 특징으로 학습자와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유입과 접속’을, 학습자와 콘텐츠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반응과 구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 교과서 내용과 융합·영재교육이 주된 동영상인 유튜브 채널 ‘초등과학TV’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튜브 스튜디오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유입과 접속’ 분석 결과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는 외부 링크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접속기기는 주로 컴퓨터였다. 둘째, ‘반응과 구독’ 분석 결과 동영상에 대한 반응으로 수행하는 ‘좋아요’와 댓글 작성 등이 조회 수 대비 모두 1% 미만으로 반응을 거의 하지 않았으며, 대부분 이용자는 구독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청하며 자발적으로 이용할 때 더 오래 시청하였다. 비록 이번 연구가 ‘초등과학TV’라는 한정된 채널을 통해서 분석되었지만,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들의 시청 특징을 조금이라도 알아볼 수 있었다. 향후 원격수업을 위한 과학교육 관련 동영상 제작, 과학교육 동영상 플랫폼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as the viewing characteristics of users of YouTube video content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flow and Access' is analyzed to find ou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the system, and 'Reaction and Subscription' to find ou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contents. To this end, the YouTube channel “Elementary Science TV,”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research. The channel is mainly focused on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STEAM, and gifted education. The channel’s data of YouTube studio was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data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Inflow and Access' analysis, YouTube video content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was most often introduced through external links, and the access device was mainly a computer.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action and Subscription,' 'like' and commenting performed as a reaction to the video were less than 1% of the number of views. Most users watch without a subscription, and watch for longer when using self-directed. Although this study was analyzed through a limited channel called ‘Elementary Science TV,’ we were able to discover a little about the users’ viewing characteristics of YouTube video conten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creating video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or remote classes, establishing a science education video platform.
AbstractList In this study, as the viewing characteristics of users of YouTube video content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flow and Access' is analyzed to find ou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the system, and 'Reaction and Subscription' to find ou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contents. To this end, the YouTube channel "Elementary Science TV,"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research. The channel is mainly focused on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STEAM, and gifted education. The channel's data of YouTube studio was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data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Inflow and Access' analysis, YouTube video content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was most often introduced through external links, and the access device was mainly a computer.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action and Subscription,' 'like' and commenting performed as a reaction to the video were less than 1% of the number of views. Most users watch without a subscription, and watch for longer when using self-directed. Although this study was analyzed through a limited channel called 'Elementary Science TV,' we were able to discover a little about the users' viewing characteristics of YouTube video conten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creating video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or remote classes, establishing a science education video platform.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의 시청 특징으로 학습자와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유입과 접속'을, 학습자와 콘텐츠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반응과 구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 교과서 내용과 융합·영재교육이 주된 동영상인 유튜브 채널 '초등과학TV'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튜브 스튜디오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유입과 접속' 분석 결과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는 외부 링크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접속기기는 주로 컴퓨터였다. 둘째, '반응과 구독' 분석 결과 동영상에 대한 반응으로 수행하는 '좋아요'와 댓글 작성 등이 조회 수 대비 모두 1% 미만으로 반응을 거의 하지 않았으며, 대부분 이용자는 구독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청하며 자발적으로 이용할 때 더 오래 시청하였다. 비록 이번 연구가 '초등과학TV'라는 한정된 채널을 통해서 분석되었지만,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들의 시청 특징을 조금이라도 알아볼 수 있었다. 향후 원격수업을 위한 과학교육 관련 동영상 제작, 과학교육 동영상 플랫폼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의 시청 특징으로 학습자와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유입과 접속’을, 학습자와 콘텐츠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반응과 구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 교과서 내용과 융합·영재교육이 주된 동영상인 유튜브 채널 ‘초등과학TV’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튜브 스튜디오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유입과 접속’ 분석 결과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는 외부 링크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접속기기는 주로 컴퓨터였다. 둘째, ‘반응과 구독’ 분석 결과 동영상에 대한 반응으로 수행하는 ‘좋아요’와 댓글 작성 등이 조회 수 대비 모두 1% 미만으로 반응을 거의 하지 않았으며, 대부분 이용자는 구독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청하며 자발적으로 이용할 때 더 오래 시청하였다. 비록 이번 연구가 ‘초등과학TV’라는 한정된 채널을 통해서 분석되었지만,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들의 시청 특징을 조금이라도 알아볼 수 있었다. 향후 원격수업을 위한 과학교육 관련 동영상 제작, 과학교육 동영상 플랫폼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as the viewing characteristics of users of YouTube video content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flow and Access' is analyzed to find ou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the system, and 'Reaction and Subscription' to find ou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contents. To this end, the YouTube channel “Elementary Science TV,”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research. The channel is mainly focused on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STEAM, and gifted education. The channel’s data of YouTube studio was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data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Inflow and Access' analysis, YouTube video content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was most often introduced through external links, and the access device was mainly a computer.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action and Subscription,' 'like' and commenting performed as a reaction to the video were less than 1% of the number of views. Most users watch without a subscription, and watch for longer when using self-directed. Although this study was analyzed through a limited channel called ‘Elementary Science TV,’ we were able to discover a little about the users’ viewing characteristics of YouTube video conten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creating video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or remote classes, establishing a science education video platform.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의 시청 특징으로 학습자와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유입과 접속’을, 학습자와 콘텐츠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반응과 구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 교과서 내용과 융합⋅영재교육이 주된 동영상인 유튜브 채널 ‘초등과학TV’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튜브 스튜디오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유입과 접속’ 분석 결과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는 외부 링크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접속기기는 주로 컴퓨터였다. 둘째, ‘반응과 구독’ 분석 결과 동영상에 대한 반응으로 수행하는 ‘좋아요’와 댓글 작성 등이 조회 수 대비 모두 1% 미만으로 반응을 거의 하지 않았으며, 대부분 이용자는 구독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청하며 자발적으로 이용할 때 더 오래 시청하였다. 비록 이번 연구가 ‘초등과학TV’라는 한정된 채널을 통해서 분석되었지만,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들의 시청 특징을 조금이라도 알아볼 수 있었다. 향후 원격수업을 위한 과학교육 관련 동영상 제작, 과학교육 동영상 플랫폼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as the viewing characteristics of users of YouTube video content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flow and Access' is analyzed to find ou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the system, and 'Reaction and Subscription' to find ou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contents. To this end, the YouTube channel “Elementary Science TV,”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research. The channel is mainly focused on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STEAM, and gifted education. The channel’s data of YouTube studio was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data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Inflow and Access' analysis, YouTube video content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was most often introduced through external links, and the access device was mainly a computer.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action and Subscription,' 'like' and commenting performed as a reaction to the video were less than 1% of the number of views. Most users watch without a subscription, and watch for longer when using self-directed. Although this study was analyzed through a limited channel called ‘Elementary Science TV,’ we were able to discover a little about the users’ viewing characteristics of YouTube video conten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creating video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or remote classes, establishing a science education video platform.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정은주
Eunju Jeong
손정우
Jeongwoo So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정은주
– sequence: 2
  fullname: Eunju Jeong
– sequence: 3
  fullname: 손정우
– sequence: 4
  fullname: Jeongwoo So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602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0M1KAlEABeBLFGTmC9RmNi1aON3fmblLkX4sQQhpe5mZOxOTpuG0aZdkGwsSQtDQMAiqRZuyMKgXcu68Q5bR6mw-DoezAGYr1YoHwBKCOkYmN9YOQk_HECOdMh3pCFkzIIFNQtIUmnQWJBDGLE04pfMgFYaBA6HJmIEZTIC98etn3O6O31qqd6eNh6fR4FFTvUHc7EWjSy266qpOXZ3VNfXVic9bajTQVH-obp7UbSu6vlf9jqYueurlWYubH-qhrUXvDdXoL4I53y6HXuovk6C4sV7MbqXzhc1cNpNPlyw6mWc7WHLTt6EjDYaw9KDjWpAyial0bQ95khquiyGBHCPsIlNCwnxJOLRdxB2SBKvT2krNFyU3EFU7-M39qijVRGa3mBPctCiEZGJXprYUhMeBqMiwLLYzO4Wf45DBGGGcc2JN3PK_C8VRLTi0ayeCWBbDBJNv1ICFG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ACYCR
DEWEY 370
DOI 10.21796/jse.2021.45.1.118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ducation
DocumentTitleAlternate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들의 시청 특징 분석
Analysis of the Users’ Viewing Characteristics of YouTube Video Conten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EISSN 2733-4074
EndPage 12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784003
JAKO202116553599938
3885232
GroupedDBID .UV
HZB
Q5X
ALMA_UNASSIGNED_HOLDINGS
JDI
ACYCR
M~E
ID FETCH-LOGICAL-k843-4ab2d97fa0bd6512de0bc8045d24dcae1ed46cc20309212c17d035fd390ac19b3
ISSN 1225-3944
IngestDate Tue Nov 21 21:41:16 EST 2023
Fri Dec 22 12:03:25 EST 2023
Fri Jun 20 02:13:36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43-4ab2d97fa0bd6512de0bc8045d24dcae1ed46cc20309212c17d035fd390ac19b3
Notes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ISTI1.1003/JNL.JAKO202116553599938
http://dx.doi.org/10.21796/jse.2021.45.1.118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1655359993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784003
kisti_ndsl_JAKO202116553599938
kiss_primary_3885232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104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1-04-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21
  text: 202104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과학교육연구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과학교육연구지
PublicationYear 2021
Publisher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name: 과학교육연구소
SSID ssib007556250
ssib022233769
ssib009283344
ssib053376941
ssib044738139
Score 1.755997
Snippet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의 시청 특징으로 학습자와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유입과 접속’을, 학습자와 콘텐츠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반응과 구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 교과서 내용과 융합·영재교육이 주된 동영상인...
In this study, as the viewing characteristics of users of YouTube video content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flow and Access' is analyzed to find out the...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의 시청 특징으로 학습자와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유입과 접속’을, 학습자와 콘텐츠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반응과 구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 교과서 내용과 융합⋅영재교육이 주된 동영상인...
SourceID nrf
kisti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18
SubjectTerms remote classes
science education video
viewing characteristics
YouTube
YouTube studios
과학교육 동영상
교육학
시청 특징
원격수업
유튜브
유튜브 스튜디오
Title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들의 시청 특징 분석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885232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11655359993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6026
Volume 45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과학교육연구지, 2021, 45(1), , pp.118-12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A-1XryIUsX6UYI4p2XXfEySmeMkm1Ir1UuV3kKS2Uhd2ZV2e_EgFuulCi5IoZWtVBDUgxetUkH_oe7s_-CbSbobq0LtJTzezHvzMi-Zeb_JvImmXTNMnsTg6iqlGACKEztVavEYUKvHUw9njdiVCc5zt9yZO3h2wVkYO9Eu7Vpa6SS19NFf80qO41XggV9llux_eHaoFBhAg3_hCh6G65F8jEKGfBv5AQrriDqIUsUBwkBhgGiAmFlRLCx3NIQ-YgZipHJQaEg5wiQNZT5BJKhIikwrVVAJWKYkiA2EkvPrkivlDpoBOWbkOuuyJUkwxHIFoarkI2ojhos6NLeA-KphUGAhVq8UtvhKjnlwP8oW30VECcKV1sux9FHuXhEe8o2iiAWFdrnlMahgR55TVVoNUaWG1JabSpQqJlspVyFu0cioLqg3yksolln6GiQf-uObC62RoDR7wOBYlZnG-eSqeBAe2gDSPVyaJcxiyskDDjPPjj88lwFWpHJd5f6yPM3VMmvYqZm1oWj54PBDE_pvR4c308XoXjtqLkUAkG5E1ANEL0_HPWl5ntrXMPc4HA7AniPx8GgApxB82qP4D2MPAjz1d77hreaJaMrY63-YCnEOwKBlAH4SDS1C_NZaykrx2_wZ7XQBvHSWv0VntbFme0K7u__lx2Bja_9rV_Te6vu7T_o7H3TR2xms9_p7L_T-yy2xuSqeruri5-bgWVfs7ehie1e8_ijedPuv3ontTV0874nPn_TB-nfxfkPvf1sTa9vntPnpcD6YqRZ_Gqk2CQb3xInFqZfFRsJdiIB5w0hSAmCHW5inccNscCzzC-TnSAj1UhjHDNvJuE2NODVpYp_XxlvtVuOCpmMz9mjCM7mWgR2SJZmbmZQTDrDIzdx0UpuQPRI9zM-SiWxCHAA1k9qU6qGoxZcfRLPs5m3Zj6brOLYDEM4mk9pV6DrlzX979eJRKl3STo3egcvaeGdppXEFAutOMqUehl-_fKWR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3%BC%ED%95%99%EA%B5%90%EC%9C%A1+%EA%B4%80%EB%A0%A8+%EC%9C%A0%ED%8A%9C%EB%B8%8C+%EB%8F%99%EC%98%81%EC%83%81+%EC%BD%98%ED%85%90%EC%B8%A0+%EC%9D%B4%EC%9A%A9%EC%9E%90%EB%93%A4%EC%9D%98+%EC%8B%9C%EC%B2%AD+%ED%8A%B9%EC%A7%95+%EB%B6%84%EC%84%9D&rft.jtitle=%EA%B3%BC%ED%95%99%EA%B5%90%EC%9C%A1%EC%97%B0%EA%B5%AC%EC%A7%80%2C+45%281%29&rft.au=%EC%A0%95%EC%9D%80%EC%A3%BC&rft.au=%EC%86%90%EC%A0%95%EC%9A%B0&rft.date=2021-04-30&rft.pub=%EA%B3%BC%ED%95%99%EA%B5%90%EC%9C%A1%EC%97%B0%EA%B5%AC%EC%86%8C&rft.issn=1225-3944&rft.eissn=2733-4074&rft.spage=118&rft.epage=128&rft_id=info:doi/10.21796%2Fjse.2021.45.1.118&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978400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394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394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394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