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Full texts from electronic resources are only available from the university network. You are currently outside this network. Please log in to access full texts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들의 시청 특징 분석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의 시청 특징으로 학습자와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유입과 접속’을, 학습자와 콘텐츠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반응과 구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 교과서 내용과 융합·영재교육이 주된 동영상인 유튜브 채널 ‘초등과학TV’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튜브 스튜디오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유입과 접속’ 분석 결과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는 외부 링크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가 가장...
Saved in:
Published in | 과학교육연구지 Vol. 45; no. 1; pp. 118 - 12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0.04.2021
과학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3944 2733-4074 |
DOI | 10.21796/jse.2021.45.1.118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의 시청 특징으로 학습자와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유입과 접속’을, 학습자와 콘텐츠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반응과 구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 교과서 내용과 융합·영재교육이 주된 동영상인 유튜브 채널 ‘초등과학TV’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튜브 스튜디오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유입과 접속’ 분석 결과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는 외부 링크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접속기기는 주로 컴퓨터였다. 둘째, ‘반응과 구독’ 분석 결과 동영상에 대한 반응으로 수행하는 ‘좋아요’와 댓글 작성 등이 조회 수 대비 모두 1% 미만으로 반응을 거의 하지 않았으며, 대부분 이용자는 구독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청하며 자발적으로 이용할 때 더 오래 시청하였다. 비록 이번 연구가 ‘초등과학TV’라는 한정된 채널을 통해서 분석되었지만, 과학교육 관련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들의 시청 특징을 조금이라도 알아볼 수 있었다. 향후 원격수업을 위한 과학교육 관련 동영상 제작, 과학교육 동영상 플랫폼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as the viewing characteristics of users of YouTube video content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flow and Access' is analyzed to find ou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the system, and 'Reaction and Subscription' to find ou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contents. To this end, the YouTube channel “Elementary Science TV,”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research. The channel is mainly focused on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STEAM, and gifted education. The channel’s data of YouTube studio was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data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Inflow and Access' analysis, YouTube video content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was most often introduced through external links, and the access device was mainly a computer.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action and Subscription,' 'like' and commenting performed as a reaction to the video were less than 1% of the number of views. Most users watch without a subscription, and watch for longer when using self-directed. Although this study was analyzed through a limited channel called ‘Elementary Science TV,’ we were able to discover a little about the users’ viewing characteristics of YouTube video conten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creating video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or remote classes, establishing a science education video platform. |
---|---|
Bibliography: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ISTI1.1003/JNL.JAKO202116553599938 http://dx.doi.org/10.21796/jse.2021.45.1.118 |
ISSN: | 1225-3944 2733-4074 |
DOI: | 10.21796/jse.2021.4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