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화온도가 탄화보드의 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

탄화보드의 신용도개발을 위하여 합판, 파티클보드, 중밀도섬유판 및 물푸레나무를 400∼1100℃로 탄화하여 탄화온도가 탄화보드의 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탄화보드의 표면온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과시간 12분까지는 급격히 상승하다가, 그 이후에는 완만히 상승하였으며 20분 이후부터는 온도가 안정화되었다. 제조시 탄화온도가 높을수록 제조된 탄화보드의 밀도가 크고 시간경과에 따른 표면온도가 높아 밀도가 표면온도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실리콘러버히터의 표면온도보다 탄화보드의 표면온도 하강속도가 느려 탄화보드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목재공학 Vol. 46; no. 1; pp. 60 - 66
Main Authors 오승원, Seung-won Oh, 황정우, Jung-woo Hwang, 박상범, Sang Bum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목재공학회 01.01.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017-0715
2233-7180
DOI10.5658/WOOD.2018.46.1.60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탄화보드의 신용도개발을 위하여 합판, 파티클보드, 중밀도섬유판 및 물푸레나무를 400∼1100℃로 탄화하여 탄화온도가 탄화보드의 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탄화보드의 표면온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과시간 12분까지는 급격히 상승하다가, 그 이후에는 완만히 상승하였으며 20분 이후부터는 온도가 안정화되었다. 제조시 탄화온도가 높을수록 제조된 탄화보드의 밀도가 크고 시간경과에 따른 표면온도가 높아 밀도가 표면온도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실리콘러버히터의 표면온도보다 탄화보드의 표면온도 하강속도가 느려 탄화보드가 오랜 시간 열을 유지하였다. For new use development of carbonized board,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arbonization temperature on the surface temperature of carbonized board manufactured from a plywood, particle board, MDF, and wood of Fraxinus rhynchophylla at different carbonization temperature (400℃∼1100℃). The surface temperature of carbonized board precipitously increased until 12 minutes elapsed, after smoothly increased and thereafter which were stable after 20 minutes. The higher carbonization temperature increased density of carbonized board and surface temperature of carbonized board so that density is considered to influence surface temperature change. Moreover, carbonized boards kept heat for a long time because the descent velocity of carbonized boards’ surface temperature was slower than that of heater’s.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 Technology
KISTI1.1003/JNL.JAKO201808962643438
ISSN:1017-0715
2233-7180
DOI:10.5658/WOOD.2018.46.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