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D 이미지를 3D 입체로 물질화한 입체 작품의 특성 연구 - 무라카미 다카시와 피에르 위그의 작품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시뮬라크르와 스펙타클의 시대를 겪어본 사람들이 오늘날 2차원의 이미지를 물질성을 가진 3차원의 입체로 재연하고 있음을 목격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을 드러내주는 무라카미 다카시, 피에르 위그의 미술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비물질적 이미지가 포화된 오늘날에 있어서 물질적 대상과 그것의 물성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밝힌다. 이미지가 실재를 대신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시뮬라크르의 시대를 지나가는 시점에서 이미지와 사물은 상호간 영향을 주고 새롭게 문화를 형성해간다. 사물을 제작함에 있어서 모방, 복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0; no. 3; pp. 265 - 279
Main Authors 장유정, Chang Yuj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6.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0.3.21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시뮬라크르와 스펙타클의 시대를 겪어본 사람들이 오늘날 2차원의 이미지를 물질성을 가진 3차원의 입체로 재연하고 있음을 목격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을 드러내주는 무라카미 다카시, 피에르 위그의 미술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비물질적 이미지가 포화된 오늘날에 있어서 물질적 대상과 그것의 물성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밝힌다. 이미지가 실재를 대신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시뮬라크르의 시대를 지나가는 시점에서 이미지와 사물은 상호간 영향을 주고 새롭게 문화를 형성해간다. 사물을 제작함에 있어서 모방, 복제, 재현, 재연이라는 행위가 반복되는 가운데 2D 미디어 속 이미지를 3D 사물로 물질화 시켜 직접 만지거나 실제로 소장할 수 있도록 하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비물질적인 시각이미지와 현실공간의 실재 사물이 결합하는 현상으로서 ‘비물질적 이미지의 물질화’ 과정이다. 눈으로만 바라볼 수 있는 이미지가 주는 경험과 손으로 직접 만질 수 있는 사물이 주는 경험의 차이는 시각에 비하여 촉각이 직접적 경험에 있어서 더 큰 만족감을 준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늘날 이미지의 물질화가 촉진되는 현상은 인간이 ‘보는 것과 만지는 것’ 사이에서 존재성의 차이를 느낀다는 점을 인정하고 이를 상업적 용도 혹은 예술적 의도에까지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비물질적인 이미지가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물질적인 것들이 축소되고 있음을 절감하여 나타나는 일종의 보상작용이기도 하다. 눈으로만 볼 수 있고 손에는 잡히지 않는 이미지를 현실 공간에서 확고하게 존재하는 실체인 사물로 만들고자 하는 이러한 현상들은 이미지와 실재의 경계 사이에서 보다 실제에 가까워지기를 기원하는 인간의 오래된 존재론적 고민과 실존에 대한 염원이 투영된 것으로 본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witness that those who have undergone the era of simulacra and spectacle today re-enact a two-dimensional image into a three-dimensional object with materiality. By analyzing works by Takashi Murakami and Pierre Huyghe, which present this situation, we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objects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in the present day of immaterial image saturation.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mages replace reality, but at the point of passing through the times of simulacre, images and objects have mutual influence and new culture is formed. In the production of objects, the phenomenon of imitation, duplication, reproduction, and reproduction are repeated, and the images in 2D media can be materialized into 3D objects so that they can be directly touched or actually possessed. This is a process of combining the immaterial visual image with the real thing in the real space, which is the process of 'materialization of immaterial imag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ence of an image that can be seen only by eyes and the experience of things that can be touched by hands can be found in that tactile feeling gives greater satisfaction to direct experience than visual. As a result, the phenomenon of facilitating the materialization of images today is acknowledging that human beings feel a difference of being between "seeing and touching", and can be seen as actively utilizing it for commercial purpose or artistic intention. It is also a kind of compensation that appears to reduce the reduction of relatively physical things as immaterial images increase. These phenomena, which can only be seen with eyes and which can not be caught by the hand, become objects that are firmly present in the real space reflect the old ontological desire of human beings who wish to be closer to the real on the border between image and reality.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47&idx=1338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