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크 앤 블루 프로젝트>에 대한 사회 문화적 코드 연구
작품 <핑크 앤 블루 프로젝트>는 16회의 개인전과 국내외 51회의 기획 그룹전, 3권의 단독사진집으로 발표된 본인의 작품이다. 현재는 6권의 색채, 젠더, 현대미술사 도서의 표지, 19권의 잡지 표지로 실렸고, 다양한 주제의 51권의 도서과 잡지에 게재되는 등 세계적 보편성과 공감을 받고 있다. 이러한 <핑크 앤 블루 프로젝트Ⅰ, Ⅱ, Ⅲ>에 대하여 본 시리즈는 물론, 기원이 되는 <동물원> <자연사박물관> <공간-사람-공간> <수집가 프로젝트>, 그리고 핑크 앤 블...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2; no. 5; pp. 251 - 26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10.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2.5.19 |
Cover
Summary: | 작품 <핑크 앤 블루 프로젝트>는 16회의 개인전과 국내외 51회의 기획 그룹전, 3권의 단독사진집으로 발표된 본인의 작품이다. 현재는 6권의 색채, 젠더, 현대미술사 도서의 표지, 19권의 잡지 표지로 실렸고, 다양한 주제의 51권의 도서과 잡지에 게재되는 등 세계적 보편성과 공감을 받고 있다. 이러한 <핑크 앤 블루 프로젝트Ⅰ, Ⅱ, Ⅲ>에 대하여 본 시리즈는 물론, 기원이 되는 <동물원> <자연사박물관> <공간-사람-공간> <수집가 프로젝트>, 그리고 핑크 앤 블루 프로젝트에서 파생된 <사물의 순환>, <핑크 블루 관찰> 시리즈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일관되게 표현한 사회 문화의 코드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본인이 작품 제작에 큰 영향을 준 구조주의적 시각과 유형학적 사진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핑크 앤 블루 프로젝트> 안에 담긴 의미성을 크게 3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첫 번째 의미성은 <핑크와 젠더>로 젠더기호로서의 Pink 색채, 젠더 유동성의 개념, 젠더 기호(記號)인 핑크가 주제인 미술작품들, 그리고 <핑크 앤 블루 프로젝트>에서의 Pink / Blue의 의미성이다. 두 번째 의미성은 글로벌 마케팅과 소비사회 관점에 대해서 Pink 마케팅과 소비사회를 살펴보았다. 세 번째 의미성은 주체로서의 어린이에 대해서, 사회 속의 정체성과, 성장에 따른 정체성 찾기로 살펴보았다. 그 동안 많은 평론가들은 <핑크 앤 블루 프로젝트>를,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레디메이드 제품에 구현된 성별 스테레오타입 색채의 추적과 기록작업으로 독해하였다. 본 연구는 그러한 측면 이외에 다양한 레이어가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즉 구조주의자인 롤랑 바르트가 잡지 독해를 통하여 그 사회에 만연하고 있으나 드러나지 않았던 사회 구조를 분석해냈듯이, 본인은 그러한 사회의 구조와 맥을 사진으로 시각화한 것이며, 이를 본 논문으로 입증하였다.
The work “The Pink and Blue Project” is my work published in 16 individual exhibitions, 51 selected group exhibitions at home and abroad, and 3 solo photobooks. Today, it is receiving worldwide universality and sympathy, and has been featured on the covers of six books related to color, gender, the cover of contemporary art history books, 19 magazine covers, 51 other books and magazines on various topics. For these Pink and Blue Projects I, II, and III, I tried to reveal the code of social culture to be expressed in consistency by researching not only this series, but also through the ‘Zoo’, ‘Space-Man-Space’, ‘Collector Project’, and ‘The Pink and Blue Project’. First, we looked at the structural perspective and typological photographs that had great influence on the production of the work. Subsequently,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Pink and Blue Project” was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meaning was ‘the Pink color as a gender symbol’, ‘the concept of gender fluidity’, ‘works of art on which Pink’, ‘a gender symbol’ is the theme, and ‘Pink/Blue's meaning in the Pink and Blue Project’. The second significance was that Pink marketing and consumer society were examined as keywords for global marketing and consumer society perspectives. The third meaning was examined by finding identity in society and identity related to growth for children as subjects. Until now, many critics have read “Pink and Blue Project” by tracking and recording gender stereo colors implemented in ready-made product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ddition to that aspect, this study attempted to show that there are various layers within the colors. In other words, as structuralist Roland Bart analyzed the social structure that was prevalent but not revealed in the society through magazine reading, I visualized the structure and vein of such a society as a photo, and proved this in this paper.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65&idx=1984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2.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