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랑드르 회화의 언어적 비유와 알레고리적 해석에 관한 비평

본 논문은 언어적 비유를 통해 플랑드르 회화의 정점을 이루어낸 히에로니무스 보쉬와 피터 브뢰겔의 작품에 나타난 알레고리의 본질적인 의미와 해석에 관한 비평적 시각을 고찰하였다. 보쉬와 브뢰겔은 네덜란드의 견고한 전통을 기반으로 중세가 막을 내리고 새로운 종교개혁의 여명이 교차하는 정치적, 종교적, 사회적 변화 속에서 종교적 비유와 도덕적 풍자에 관한 알레고리를 화풍에 구축하였다. 따라서 이들이 시대적 관습과 종교적 주제, 선과 악의 이중구조에 따른 알레고리적 표현방식들을 작품 속에 어떻게 구현하였는지 시와 속담, 성서적 알레고리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7; no. 6; pp. 169 - 185
Main Authors 김허경, Kim Heo Ky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12.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Cover

Loading…
Abstract 본 논문은 언어적 비유를 통해 플랑드르 회화의 정점을 이루어낸 히에로니무스 보쉬와 피터 브뢰겔의 작품에 나타난 알레고리의 본질적인 의미와 해석에 관한 비평적 시각을 고찰하였다. 보쉬와 브뢰겔은 네덜란드의 견고한 전통을 기반으로 중세가 막을 내리고 새로운 종교개혁의 여명이 교차하는 정치적, 종교적, 사회적 변화 속에서 종교적 비유와 도덕적 풍자에 관한 알레고리를 화풍에 구축하였다. 따라서 이들이 시대적 관습과 종교적 주제, 선과 악의 이중구조에 따른 알레고리적 표현방식들을 작품 속에 어떻게 구현하였는지 시와 속담, 성서적 알레고리를 근거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15, 16세기 플랑드르 회화가 형성(발전하게 된 시대적 배경을 통해 미술의 사회적 특수성을 살펴보고 시대적 흐름에 따른 알레고리의 언어개념을 알아본다. 특히 20세기 초반 발터 벤야민이 현대적 의미로 재평가한 언어적 본질에 기초한 알레고리 이론에 주목하였다. 보쉬와 브뢰겔은 종교와 역사의 엄중한 교훈을 토대로 독창적인 비유적 어법과 비판적 시각으로 인간의 본성을 탐구함으로서 이들이 속한 당대 현실의 개혁정신을 일깨웠다. 보쉬와 브뢰겔이 이끌어낸 공통적인 주제와 내용, 알레고리적 특성들은 플랑드르 문화와 미술의 특수성에서 발견할 수 있는 상징적인 요소이자 그들의 예술론을 판단하는 진정한 기준인 것이다. 이는 시대와 역사를 관통하여 현대미술을 통찰하고 해석할 수 있는 매개의 역할 즉 방법론적인 틀을 제공할 수 있기에 매우 시사적이다. This thesis explores the meaning of allegory in Hieronymus Bosch and Pieter Bruegel`s work. Bosch and Bruegel established a style of religious symbols and moral satire amidst the sociopolitical and religious changes. I aim to analyze how allegoric expressions were embodied within religious themes and the good and evil through poem, saying and biblical allegories. It looks into the social distinctiveness, linguistic concept of allegory of each time and allegory theory that Benjamin reinterpreted in the early 20c. They awakened revolutionary spirit exploring human nature through metaphoric language and critical perspective based on religious and historical lessons. The subject, contents and allegoric features that both of them had are symbolic elements of Flemish culture as well as the standard that defines their art. It is suggestive as a method that gives insight to contemporary art over time.
AbstractList 본 논문은 언어적 비유를 통해 플랑드르 회화의 정점을 이루어낸 히에로니무스 보쉬와 피터 브뢰겔의 작품에 나타난 알레고리의 본질적인 의미와 해석에 관한 비평적 시각을 고찰하였다. 보쉬와 브뢰겔은 네덜란드의 견고한 전통을 기반으로 중세가 막을 내리고 새로운 종교개혁의 여명이 교차하는 정치적, 종교적, 사회적 변화 속에서 종교적 비유와 도덕적 풍자에 관한 알레고리를 화풍에 구축하였다. 따라서 이들이 시대적 관습과 종교적 주제, 선과 악의 이중구조에 따른 알레고리적 표현방식들을 작품 속에 어떻게 구현하였는지 시와 속담, 성서적 알레고리를 근거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15, 16세기 플랑드르 회화가 형성(발전하게 된 시대적 배경을 통해 미술의 사회적 특수성을 살펴보고 시대적 흐름에 따른 알레고리의 언어개념을 알아본다. 특히 20세기 초반 발터 벤야민이 현대적 의미로 재평가한 언어적 본질에 기초한 알레고리 이론에 주목하였다. 보쉬와 브뢰겔은 종교와 역사의 엄중한 교훈을 토대로 독창적인 비유적 어법과 비판적 시각으로 인간의 본성을 탐구함으로서 이들이 속한 당대 현실의 개혁정신을 일깨웠다. 보쉬와 브뢰겔이 이끌어낸 공통적인 주제와 내용, 알레고리적 특성들은 플랑드르 문화와 미술의 특수성에서 발견할 수 있는 상징적인 요소이자 그들의 예술론을 판단하는 진정한 기준인 것이다. 이는 시대와 역사를 관통하여 현대미술을 통찰하고 해석할 수 있는 매개의 역할 즉 방법론적인 틀을 제공할 수 있기에 매우 시사적이다. This thesis explores the meaning of allegory in Hieronymus Bosch and Pieter Bruegel`s work. Bosch and Bruegel established a style of religious symbols and moral satire amidst the sociopolitical and religious changes. I aim to analyze how allegoric expressions were embodied within religious themes and the good and evil through poem, saying and biblical allegories. It looks into the social distinctiveness, linguistic concept of allegory of each time and allegory theory that Benjamin reinterpreted in the early 20c. They awakened revolutionary spirit exploring human nature through metaphoric language and critical perspective based on religious and historical lessons. The subject, contents and allegoric features that both of them had are symbolic elements of Flemish culture as well as the standard that defines their art. It is suggestive as a method that gives insight to contemporary art over time.
본 논문은 언어적 비유를 통해 플랑드르 회화의 정점을 이루어낸 히에로니무스 보쉬와 피터 브뢰겔의 작품에 나타난 알레고리의 본질적인 의미와 해석에 관한 비평적 시각을 고찰하였다. 보쉬와 브뢰겔은 네덜란드의 견고한 전통을 기반으로 중세가 막을 내리고 새로운 종교개혁의 여명이 교차하는 정치적, 종교적, 사회적 변화 속에서 종교적 비유와 도덕적 풍자에 관한 알레고리를 화풍에 구축하였다. 따라서 이들이 시대적 관습과 종교적 주제, 선과 악의 이중구조에 따른 알레고리적 표현방식들을 작품 속에 어떻게 구현하였는지 시와 속담, 성서적 알레고리를 근거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15, 16세기 플랑드르 회화가 형성발전하게 된 시대적 배경을 통해 미술의 사회적 특수성을 살펴보고 시대적 흐름에 따른 알레고리의 언어개념을 알아본다. 특히 20세기 초반 발터 벤야민이 현대적 의미로 재평가한 언어적 본질에 기초한 알레고리 이론에 주목하였다. 보쉬와 브뢰겔은 종교와 역사의 엄중한 교훈을 토대로 독창적인 비유적 어법과 비판적 시각으로 인간의 본성을 탐구함으로서 이들이 속한 당대 현실의 개혁정신을 일깨웠다. 보쉬와 브뢰겔이 이끌어낸 공통적인 주제와 내용, 알레고리적 특성들은 플랑드르 문화와 미술의 특수성에서 발견할 수 있는 상징적인 요소이자 그들의 예술론을 판단하는 진정한 기준인 것이다. 이는 시대와 역사를 관통하여 현대미술을 통찰하고 해석할 수 있는 매개의 역할 즉 방법론적인 틀을 제공할 수 있기에 매우 시사적이다. This thesis explores the meaning of allegory in Hieronymus Bosch and Pieter Bruegel's work. Bosch and Bruegel established a style of religious symbols and moral satire amidst the sociopolitical and religious changes. I aim to analyze how allegoric expressions were embodied within religious themes and the good and evil through poem, saying and biblical allegories. It looks into the social distinctiveness, linguistic concept of allegory of each time and allegory theory that Benjamin reinterpreted in the early 20c. They awakened revolutionary spirit exploring human nature through metaphoric language and critical perspective based on religious and historical lessons. The subject, contents and allegoric features that both of them had are symbolic elements of Flemish culture as well as the standard that defines their art. It is suggestive as a method that gives insight to contemporary art over time. KCI Citation Count: 0
Author 김허경
Kim Heo Kyung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허경
– sequence: 2
  fullname: Kim Heo Kyu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9025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DFPwkAcBfCLwUREPoFLFweHJlz_V-5uJIhKQiQh7M1daU1TBdPGwQ0TBk1I0AgoBkwXndzsoF-JXr-DRYjTe8n75e2iXLfXdbZQ3qAYdJNzyKE8NjnTWRnMHVQMQ0-WCKFAKeF51ErHw-TtMXmaJ--xlr4O09lYLV40Nf1W01hFt1ryM1DzSM36mpoMk-hu-RUlH5-rJZ3EarBQzw_aMu6nk_mKpqP7PbTtiovQKW6ygNrHtXb1VG80T-rVSkP3GcE6l5w6hmCuNKnJoUSJDS4lnRIWjAERHJuC2xRjYUvAHSLBMA1BpeRM2kABCuhwfdsNXMu3PasnvL8871l-YFVa7bqFAePsObMHG3sdeJdOxxPWVVZEcGOdNY9qGDMAbODM7a-d74XhPwHCDVoG-AXdT30r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atabaseName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플랑드르 회화의 언어적 비유와 알레고리적 해석에 관한 비평
A Critical Study on the Linguistic Metaphor and Allegoric Interpretation of Flemish Painting
DocumentTitle_FL A Critical Study on the Linguistic Metaphor and Allegoric Interpretation of Flemish Painting
EISSN 2713-5993
EndPage 18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311074
NODE11833121
3492763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41-9b97e2a8fb57593074c3f74d01a8834a915a9c711acb31d4b3252a7bb98bc3733
ISSN 1598-8635
IngestDate Tue Nov 21 21:44:17 EST 2023
Thu Mar 13 19:39:48 EDT 2025
Tue Aug 13 02:12:05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6
Keywords 브뢰겔
알레고리
성서
Saying
Bible
벤야민
Allegory
Benjamin
Bosch
Bruegel
보쉬
속담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41-9b97e2a8fb57593074c3f74d01a8834a915a9c711acb31d4b3252a7bb98bc373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G704-001069.2016.17.6.036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31&idx=690
PageCount 1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311074
nurimedia_primary_NODE11833121
kiss_primary_349276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6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6-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6
  text: 2016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16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6107436
Snippet 본 논문은 언어적 비유를 통해 플랑드르 회화의 정점을 이루어낸 히에로니무스 보쉬와 피터 브뢰겔의 작품에 나타난 알레고리의 본질적인 의미와 해석에 관한 비평적 시각을 고찰하였다. 보쉬와 브뢰겔은 네덜란드의 견고한 전통을 기반으로 중세가 막을 내리고 새로운 종교개혁의 여명이 교차하는...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69
SubjectTerms Allegory
Benjamin
Bible
Bosch
Bruegel
Saying
벤야민
보쉬
브뢰겔
성서
속담
알레고리
예술일반
Title 플랑드르 회화의 언어적 비유와 알레고리적 해석에 관한 비평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492763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312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90259
Volume 1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기초조형학연구, 2016, 17(6), 78, pp.169-18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NBFB_aXvQiShXrR1jEOYUtmZ3Z3ZnjbrKlClaQCr2F_ciKBBKJycWDVOhBIaBiW620kouevJmD_kvN5n_wvdlNukqF1svy8ubNm7fzhn2_t9l5Q8jdFqBgK02ZGSvJTWEzboailZiADmSYhpCQhfpriw1n_bG4v2VvLSxWSl8tDfrRavzi1H0l_-NV4IFfcZfsOTw7VwoMoMG_cAUPw_VMPqZBgyoAg3Ua-FQFVDFNcKo0x7OpL6payNNCQCjsENSpAlpWNeVQX84I3ebVAF9WUYOvqMzFNRcJ4NTyfnYxMIqDAo_6XAsBx6FevaypgdK5ctAHY2N_lyrU5GGDrBVCql4euEHlGs0P_5khaN1BUl9bgz217R7THLwp1FLoUsU42AS9bLQKlhSWfMI_lObvQHSrmhnhzm7Hon6j_FaEObPai8U6nts8U984p3WFZ8qRQUlTOnltldWW5lmQ4Zu2UrwUAVh-8kwBJthpdb7_ir9_VPpux0-bT7rNdq8J-cy9JhZDApC3SBY5w6f4g5fBCdhlulri_LfCbcgnT1chXA7YXumCwYXtgDsgLXkOOKrTA_h1oTPAMyTgQVTCVJuXyaUiGTK8fGVfIQvt7jJ5NN0dTr68n3w4nHwdG9PPw-nBbnb0ycj2f2b742z0ypj82skOR9nBtpHtDSej18c_RpNv37FlujfOdo6yj--M4_H2dO8QRadv31wlm2vBZn3dLE7-MNtSMFNFym1ZoUwjPD4WopCIeeqKpMZCKbkIFbNDFbuMhXHEWSIibtlW6EaRklHMXc6vkaVOt9O6Tow0USCTJAICqXCtVEE64MS1xInDuBbKaIUs44w0n-W1XZpYrBNC7gq5AzOkvfFvr6yQynwC5wo2HjYCSNo5Zxa7cRYtN8nFkwV8iyz1e4PWbQC6_aii_f0bojmJi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4%8C%EB%9E%91%EB%93%9C%EB%A5%B4+%ED%9A%8C%ED%99%94%EC%9D%98+%EC%96%B8%EC%96%B4%EC%A0%81+%EB%B9%84%EC%9C%A0%EC%99%80+%EC%95%8C%EB%A0%88%EA%B3%A0%EB%A6%AC%EC%A0%81+%ED%95%B4%EC%84%9D%EC%97%90+%EA%B4%80%ED%95%9C+%EB%B9%84%ED%8F%89&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2C+17%286%29&rft.au=%EA%B9%80%ED%97%88%EA%B2%BD&rft.date=2016-12-31&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eissn=2713-5993&rft.spage=169&rft.epage=186&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31107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