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피시설 특성에 관한 연구 -강릉시 대피시설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재해·재난 시 강릉시 대피시설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기존 건축물을 대피시설로 활용했을 시 사용되는 시설과 선정기준을 조사하여 대피시설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연구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대상은 강릉시의 기존건축물을 사용한 대피시설이며, 조사방법은 대피시설 관련 이론 조사를 통해 분석틀을 도출하고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실태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해·재난 대피시설의 유형은 교육, 공공, 노인복지, 사무, 종교시설로 크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7; no. 5; pp. 223 - 234
Main Authors 문정인, Moon Jung 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10.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재해·재난 시 강릉시 대피시설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기존 건축물을 대피시설로 활용했을 시 사용되는 시설과 선정기준을 조사하여 대피시설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연구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대상은 강릉시의 기존건축물을 사용한 대피시설이며, 조사방법은 대피시설 관련 이론 조사를 통해 분석틀을 도출하고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실태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해·재난 대피시설의 유형은 교육, 공공, 노인복지, 사무, 종교시설로 크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학교와 관공서의 경우는 대피공간으로 사용해도 생활하기에 큰 어려움은 없었으나 대피 시 이재민이 생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마을회관과 경로당 같은 경우 접근공간이 협소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시 구호차량 진입 불가 등 어려움이 있는 특징이 나타났다. 둘째, 지진해일 대피소의 유형은 교육, 공공, 주거, 군사, 상업, 종교시설, 산 공터로 크게 7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지진해일 대피소는 기존 건축물 또는 넓은 공터 및 산이 지정 되어 있었으나 실제로 실내 대피공간이 없는 특징이 나타났으므로 긴급 상황 시 장기 대피의 경우를 대비하여 실내외 대피공간 계획이 필요하리라 본다. 또한 긴급 상황 시 대피로가 없는 경우가 특징으로 나타났으므로 기존 건축물을 고려한 대피로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대피시설의 지정기준은 체계적인 방법으로 지역별 특징 및 기존 건축물의 용도와 특징을 파악하여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properties of the facility used to evacuate through field case studies evacuation facilities in Gangneung. In addition, through this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provide data to help evacuate the facility actively research. The subjects are evacuated using existing facilities building of Gangneung. Research methods is to derive the analytical framework through an evacuation facilities related theory research and visit the site directly conducted a survey. Specific detai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disaster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big as education, the public, the elderly, office, religious facilities. Schools and government offices can be used to evacuate the facility, but showed that the difficulties in evacuating the refugees. Main entrance to the town hall and senior citizen is narrow space launch vehicle derived structural problems difficult if an emergency occurs. Second, the type of Tsunami evacuation facilities are classified as educational, public, residential, military, commercial, religious facilities, mountains, open spaces. Tsunami shelters were designated as existing buildings and mountains, but there was no indoor shelter space. Therefore, Tsunami evacuation shelters is required indoor and outdoor evacuation facilities in case of long-term evacuation in an emergency. Since there was no evacuation path is needed as an emergency plan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buildings. Third, specifies criteria for evacuation facilities are systematically need to be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uses of the existing building.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G704-001069.2016.17.5.020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30&idx=634
ISSN:1598-8635
2713-5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