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부 후전방향 검사 시 임산부의 선량 평가

임산부의 사망 원인으로 색전증이 발생하며, 이를 검사하기 위해 흉부 방사선 검사를 수행한다. 이외에도 분만 전 응급 수술을 대비하거나 기본 진단 등의 목적으로 검사가 수행된다. 실제 측정을 통해 태아 선량을 평가하는 것은 윤리적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사전연구로 제작된 팬텀을 통해 흉부 후전방향 검사에서 임신 주 수에 따른 임산부의 장기선량 및 태아선량을 평가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임신 주 수에 따라 태아선량은 감소하였으며, 약 0.1 mGy의 선량을 나타내었다. 차폐를 사용할 때, 차폐 물성으로 밀도가 높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4; no. 5; pp. 661 - 668
Main Authors 우리원, Ri-won Woo, 조용인, Yong-in Cho, 김정훈, Jung-hoon K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방사선학회 30.10.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0620
2384-0633
DOI10.7742/jksr.2020.14.5.66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임산부의 사망 원인으로 색전증이 발생하며, 이를 검사하기 위해 흉부 방사선 검사를 수행한다. 이외에도 분만 전 응급 수술을 대비하거나 기본 진단 등의 목적으로 검사가 수행된다. 실제 측정을 통해 태아 선량을 평가하는 것은 윤리적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사전연구로 제작된 팬텀을 통해 흉부 후전방향 검사에서 임신 주 수에 따른 임산부의 장기선량 및 태아선량을 평가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임신 주 수에 따라 태아선량은 감소하였으며, 약 0.1 mGy의 선량을 나타내었다. 차폐를 사용할 때, 차폐 물성으로 밀도가 높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차폐 효과가 우수하며 차폐 물성과 두께에 따라 40 ~ 98% 선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완전차폐보다 단면차폐로도 태아선량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다양한 차폐물성과 방법 등을 통해 태아선량을 줄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One of the causes of death for pregnant female is embolism, when a chest PA examination is performed. In addition, due to small doses, the examinations a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for pre-delivery emergency surgery or basic examination for pregnant female. Evaluating fetal doses through actual measurements is subject to ethical problems, Monte Carlo simulations assesses the organ and fetal doses of pregnant females according to week of pregnancy.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s showed that the fetal dose decreased according to weeks of pregnancy and it showed a dose of about 0.1 mGy. The higher the density and thickness of the shielding material, the better the shielding effect. In addition, the dose reduction effect for each shielding material is between 40 and 98%. Afterwards, it is deemed necessary to study the reduction of fetal doses through various shielding characteristics and methods.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031837626071
http://koreascience.kr/journal/BSSHB5.page
ISSN:1976-0620
2384-0633
DOI:10.7742/jksr.2020.14.5.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