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아프리카 마그레브 지역의 베르베르 문양연구 -문양의 형태적 분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북아프리카의 서쪽인 마그레브(Maghreb)지역의 베르베르(Berber)원주민들을 중심으로 혼성문화 형성 과정을 고찰하고 베르베르 문양의 형태적 특성과 혼성문화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시대적 고찰을 통해 문화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베르베르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고찰한다. 또한, 베르베르 부족의 전통 문양 속에 내재된 기호와 상징을 파악하고 형태를 중심으로 그 특성을 도출한다. 이를 통한 결과를 살펴보면, 주변 문화와의 빈번한 교류는 문화의 혼성성과 다원성 그리고 이동성을 갖게 한다. 21...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1; no. 6; pp. 481 - 49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12.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1.6.35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북아프리카의 서쪽인 마그레브(Maghreb)지역의 베르베르(Berber)원주민들을 중심으로 혼성문화 형성 과정을 고찰하고 베르베르 문양의 형태적 특성과 혼성문화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시대적 고찰을 통해 문화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베르베르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고찰한다. 또한, 베르베르 부족의 전통 문양 속에 내재된 기호와 상징을 파악하고 형태를 중심으로 그 특성을 도출한다. 이를 통한 결과를 살펴보면, 주변 문화와의 빈번한 교류는 문화의 혼성성과 다원성 그리고 이동성을 갖게 한다. 21세기에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다문화, 다인종으로 인종과 민족을 구분하는 기준이 변화하면서 비주류였던 소수문화가 재조명되고 있다. 베르베르족들은 문화적 다양성과 충돌 속에서도 완전한 동화나 흡수가 아닌 자신들 문화의 주체가 되어 다양한 언표를 만들고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고있는 것이다. 북아프리카의 아랍ㆍ이슬람 문양과 차별화되는 베르베르 문양은 삼각형을 중심으로 형태가 이루어진다. 삼각형, 마름모, V자, X자, 동그라미, 일자와 같이 삼각형에서 파생 되어진 기하 형태가 대칭적으로 사용되어 형태를 이루고 있다. 다양한 문양이나 문신은 자신이 속한 부족의 정체성과 역사를 나타내고 서로 다른 부족 집단을 구별하는 기호로 활용된다. 이슬람, 킬림, 베르베르 문양에 이르기까지 서로 변형되어 보여지는 문양형태의 연결성은 이들 문화의 원류성을 읽게 한다. 고대 페니키아에서부터 그리스, 로마, 아랍, 터어키, 스페인, 유럽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문화의 혼성을 거친 베르베르 민족의 문양은 규정되어 지지 않고 다양한 상황 속에서 드러나는 맥락들로 확장되어지며 오늘날 21세기 문화의 노마디즘적 성격을 보여주기도 한다. 베르베르의 모든 자료는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거나 기술전수를 통해 내려오다 보니 체계적으로 정리된 자료와 연구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북아프리카의 다양한 예술문화의 저변확대와 디자인 활용을 위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ybrid culture formation, focusing on the Berber people of the Maghreb region an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Berber pattern and the hybrid culture. As a research method, it examines the process of cultural formation and identity of the Berbers through periodic consideration. Focused on the signs and symbols of the Berber tribe to derive it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form. As the results, frequent exchanges with surrounding cultures lead to cultural hybridity, pluralism, and mobility. In the 21st century, as the standards for classifying race and ethnicity have changed, minority culture, which was a non-mainstream, is being refocused. The Berbers are not completely assimilation or absorption amidst cultural diversity and conflict, but rather become the subjects of their culture. The Berber patter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rabㆍIslamic pattern in North Africa, is formed around a triangle. Geometric shapes derived from triangles such as rhombus, V, X, circle are used in the symmetrical shape. Various patterns or tattoos represent the identity and history of the tribe to which they belong and distinguish different tribal group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atterns of Islam, Kilim, and Berber, which are transformed and shown, makes us read the originality of these cultures. From ancient Phoenicians to Greece, Rome, Arab, Turkey, Spain, and Europe, the pattern of the Berber people, which has been mixed with numerous cultures, is not defined, but expands to contexts that appear in various situations, and is the nomadic culture of today's 21st century. All of Berber's data has been handed down orally or through technology transfer, so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ally organized data and research. To expand the base of various art cultures in North Africa and to utilize designs, follow-up studies will continue.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56&idx=1699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1.6.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