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반박리가 동반된 열공망막박리의 재유착 후 황반부의 다국소 망막전위도 소견

목적 : 황반박리가 동반된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성공적인 재유착 후 황반박리기간에 따른 황반부의 기능을 다국소 망막 전위도를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황반부가 포함된 열공망막박리로 진단받고 공막돌륭술 또는 기체망막유착술로 성공적인 재유착 후 최소 12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19명 19안을 대상으로 황반박리 기간이 7일 이내였던 10안(A군)과 7일을 초과했던 11안(B군)을 대상으로 중심오목(Ring 1)과 황반부(Ring 1+2)의 N1, P1의 진폭과 함의점 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A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9; no. 3; pp. 479 - 486
Main Authors 안정현, Jung Hyun Ahn, 장무환, Moo Hwan Chang, 경성은, Seong Eun Ky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1.03.200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황반박리가 동반된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성공적인 재유착 후 황반박리기간에 따른 황반부의 기능을 다국소 망막 전위도를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황반부가 포함된 열공망막박리로 진단받고 공막돌륭술 또는 기체망막유착술로 성공적인 재유착 후 최소 12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19명 19안을 대상으로 황반박리 기간이 7일 이내였던 10안(A군)과 7일을 초과했던 11안(B군)을 대상으로 중심오목(Ring 1)과 황반부(Ring 1+2)의 N1, P1의 진폭과 함의점 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A군과 정상 대조군 19안의 결과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 황반의 재유착 후 다국소 망막전위도 검사상 중심오목과 황반부에서 A군과 B군의 P1 진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A군과 B군의 N1 진폭은 중심오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황반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A군과 대조군 사이에는 모든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함의점 시간은 중심오목과 황반부 모두 A군과 B군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황반박리기간이 재유착 후 황반의 시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다국소 망막전위도 검사가 망막박리의 재유착 후 망막 기능을 평가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안지 49(3):479-486, 2008> Purpose: To assess macular function by multifocal electroretinography after reattachment of macula-off retinal detachment and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duration of macular detachment (DMD) and functional recovery. Methods: Nineteen patients (19 eyes) with macula-off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underwent pneumatic retinopexy or scleral buckling. Retinal reattachment was obtained successfully in all patients. Duration of follow-up of all patients is at least more than 12 months. Eyes were divided into 2 groups, corresponding to the DMD : Group A (within 7 days, n=9 eyes), Group B (>7 days, n=10 eyes). The amplitudes and implicit times of N1-wave and P1-wave of mfERGs in Area 1 (Ring 1), Area 2 (Ring 1+2) were compared between Group A and B and between Group A and control group. Results: The P1 amplitudes in Area 1 and 2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A and B (P<0.05). N1 amplitudes in Area 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A and B (P<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1 amplitudes in Area 2 between Group A and B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ll data between Group A and control in Area 1 and 2 (P>0.05) The implicit times of N1, P1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A and B. Conclusions: The DMD plays a key role in recovery of visual function after reattachment. The mfERG is a useful tool to evaluate the recovery of macular function after reattachment of macula-off retinal detachments. J Korean Ophthalmol Soc 49(3):479-486, 2008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8.49.3.018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