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잎추출물이 배양된 테논낭 섬유아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목적 : 은행잎추출물(Ginkgo biloba extract, GBE)이 배양된 테논낭 섬유아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GBE의 자유유리기 제거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PPH assay를 시행하였다. 일차배양한 사람의 테논낭 섬유아세포를 10, 100 µg/ml의 GBE에 혈청이 포함된 배지와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이용하여 이틀간 노출시킨 후 MTT assay와 Griess assay를 시행하여 세포생존과 산화질소의 생성을 알아보았으며, 세포보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sodium cyanide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7; no. 4; pp. 649 - 654
Main Authors 김재우, Jae Woo Kim, 김성재, Seong Jae Kim, 강현구, Hyun Ku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04.200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은행잎추출물(Ginkgo biloba extract, GBE)이 배양된 테논낭 섬유아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GBE의 자유유리기 제거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PPH assay를 시행하였다. 일차배양한 사람의 테논낭 섬유아세포를 10, 100 µg/ml의 GBE에 혈청이 포함된 배지와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이용하여 이틀간 노출시킨 후 MTT assay와 Griess assay를 시행하여 세포생존과 산화질소의 생성을 알아보았으며, 세포보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sodium cyanide와 과산화수소에 함께 노출시켰다. 결과 : GBE는 자유유리기 제거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의 증가에 따라 혈청결핍 상태와 저산소증 상태에서 유의하게 섬유아세포의 생존을 촉진하였으나 과산화수소에 의한 산화스트레스에 대해서는 유의한 보호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청결핍, 저산소증과 산화스트레스에 대해 산화질소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 GBE는 자유유리기 제거효과가 있었으며 배양된 섬유아세포에서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켰고 저산소증에 대해 세포보호작용을 나타내었다. GBE는 테논낭 섬유아세포의 생존을 증가시켜 결막의 창상치유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안지 47(4):649-654, 2006>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inkgo biloba extract (GBE) on the proliferation of cultured human Tenon capsule fibroblasts (HTCF). Method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BE was assessed with a DPPH assay. Primarily cultured HTCF were exposed to 10 and 100 µg/ml of GBE, and the effect of this extract on HTCF survival was assessed. Following 48 hr exposure to the media with or without serum, cellular survival and nitrite production were assessed by MTT and Griess assays. To evaluate whether GBE had a cytoproptective effect, HTCF were cultured in a combination of GBE and either sodium cyanide or hydrogen peroxide. Results: GBE show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GBE increased the cellular survival of HTCF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provided a cytoprotective effect when cells were exposed to sodium cyanide or were deprived of serum, but not when hydrogen peroxide was added to the medium. GBE decreased nitric oxide production but not to a statistically degree. Conclusions: GBE promotes proliferation of HTCF and has a cytoprotective effect in serum-deprived or hypoxic conditions. This suggests that GBE may b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conjunctival wound healing by increasing the survival of HTCF. J Korean Ophthalmol Soc 47(4):649-654, 2006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6.47.4.022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