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을 통한 청소년기 학생들의 콘택트렌즈 사용실태조사

목적: 청소년들의 굴절상태, 교정방법, 콘택트렌즈 착용시기, 종류, 관리, 합병증, 유통에 관한 문제점을 조사함으로써 콘택트렌즈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사용, 유통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대상과 방법: 익산지역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 남자 472명(중 204명, 고 268명), 여자 448명(중 209명, 고 239명), 총 9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한 후 면담에 의하지 않고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결과: 근시 49% (남 44%, 여 54%), 원시 12% (남 12%, 여 13%)였으며, 이들 중 7...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5; no. 1; pp. 54 - 58
Main Authors 김판상, Pan Sang Kim, 김상덕, Sang Duck Kim, 김재덕, Jae Duck Kim, 최창욱, Chang Wook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1.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청소년들의 굴절상태, 교정방법, 콘택트렌즈 착용시기, 종류, 관리, 합병증, 유통에 관한 문제점을 조사함으로써 콘택트렌즈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사용, 유통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대상과 방법: 익산지역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 남자 472명(중 204명, 고 268명), 여자 448명(중 209명, 고 239명), 총 9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한 후 면담에 의하지 않고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결과: 근시 49% (남 44%, 여 54%), 원시 12% (남 12%, 여 13%)였으며, 이들 중 70%는 안경으로 굴절이상을 교정하고 있었다. 콘택트렌즈 사용 경험이 있는 학생은 27% (남 4%, 여 50%)였으며, 64%가 소프트렌즈였다. 첫 착용시기는 14-16세 사이가 63%으로 가장 많았고, 주로 안경점(95%)에서 구매하였다. 대부분 세척액을 이용하여 매일 세척하고 있었으나 정확한 소독법에 대해 알고 있는 학생은 25%에 불과했으며, 30일에 한 번 세척하는 학생도 5명 있었다. 콘택트렌즈 사용으로 인한 합병증은 충혈(31%), 이물감(19%), 눈물흘림(16%), 가려움(13%), 각막염(9%) 순이었으며, 합병증의 원인은 주로 본인들의 관리 잘못(93%)이라고 답하였다. 결론: 설문조사 결과 본인의 굴절상태, 콘택트렌즈 구입, 처방, 관리, 부작용에 대해서 잘못된 상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올바른 콘택트렌즈 사용과 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4;55(1):54-58>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gather valid data for promoting public eye health among adolescent contact lens wearers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practices of contact lenses wearers. Methods: A questionnaire regarding use and care of contact lenses was distributed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920 students (472 males, 448 females) were enrolled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explained to the students. Results: Among all student, 49% had myopia (male 44%, female 54%) and 12% hyperopia (male 12%, female 13%). In addition, 70% of the subjects chose to wear glasses for vision correction, 27% (male 4%, female 50%) reported they have worn contact lenses and 64% of those were soft contact lenses. The age for starting contact lenses was between 14-16 years of age (63%). Most students (95%) purchased their contact lenses from an optical store. Many (89%) cleaned the contact lenses with cleaning solution on a daily basis, however, only 25% of the students received instructions on how to clean the lens properly. Common complaints associated with use in descending order were hyperemia (31%), foreign body sensation (19%), tearing (16%), pruritis (13%), and keratitis (9%).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 main cause of complications was due to the users` lens handling (93%).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findings showed many adolescents have misleading knowledge regarding use of contact lenses. There is a need for better education of young contact lens users regarding the contact lens care.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54-58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http://dx.doi.org/10.3341/jkos.2014.55.1.54
G704-001025.2014.55.1.02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