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가성종양의 임상분류와 치료
목적: 안와가성종양 환자의 병변의 위치에 따라 임상증상 및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2년부터 2007년까지 본원에서 안와가성종양으로 진단받고 6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한 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안와 전산화단층촬영으로 병변의 위치를 앞안와성, 미만성, 뒤안와성, 외안근성, 눈물샘성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환자에게 부신피질호르몬을 일차치료제로 사용하면서 증상 호전 및 치료 경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안와가성종양의 위치에 따른 병변은 눈물샘성이 61% (39/62)로 가장 많았고 임상증상으로는 안검부종이...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9; no. 9; pp. 1379 - 1386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9.200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안와가성종양 환자의 병변의 위치에 따라 임상증상 및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2년부터 2007년까지 본원에서 안와가성종양으로 진단받고 6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한 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안와 전산화단층촬영으로 병변의 위치를 앞안와성, 미만성, 뒤안와성, 외안근성, 눈물샘성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환자에게 부신피질호르몬을 일차치료제로 사용하면서 증상 호전 및 치료 경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안와가성종양의 위치에 따른 병변은 눈물샘성이 61% (39/62)로 가장 많았고 임상증상으로는 안검부종이 97% (60/62)로 가장 많았다. 부신피질호르몬에 84%의 환자가 증상 호전이 있었으나 29% (18/62)에서 재발하였다. 결론: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안와가성종양을 분류하고 임상증상과 치료효과, 재발률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었다. 안와가성종양은 대부분이 생검 없이 임상증상과 방사선 소견으로 진단한다. 치료에 잘 반응하지만 재발률이 높은 질환으로 반드시 다른 질환과 감별하여야 하며 장기간 지속된 안검부종 환자에서는 가성종양여부의 확인을 위해 전산화단층촬영을 고려해야 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08;49(9):1379-1386>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esults of outcomes in different types of orbital pseudotumor. Methods: This study included 62 patients diagnosed with orbital pseudotumor between 2002 and 2007, who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6 months. The pseudotumor was classified into anterior, diffuse, apical, myositic, or lacrimal types according to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s. All patients were initially treated with corticosteroids and checked for symptom improvement and response to the corticosteroids. Results: Lacrimal type pseudotumor (61%, 39/62)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and lid swelling (97%, 60/62) was the most common symptom. Response rate to corticosteroid treatment was 84%, and the recurrence rate was 29%. Conclusions: The orbital pseudotumors were localized by computed tomography and classified to compare the symptoms, treatment efficacy and recurrence rates between the different types. The orbital pseudotumor is most commonly diagnosed based on clinical symptomsand radiologic features without biopsy. The orbital pseudotumor showed a good treatment response but also a high recurrence rate. Therefore, when starting treatmen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differential diagnosis. It is recommended to carefully examine patients who have lid swelling for a few weeks with computed tomography before using corticosteroid treat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9):1379-1386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8.49.9.024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