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각막절삭기를 이용한 라식 수술 시 각막절편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수술 전 인자

목적 : Moria M2 미세각막절삭기를 이용한 라식 수술 시 각막절편 두께에 영향을 주는 술 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3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본원 안과에서 가파른 각막곡률치 nomogram에 따라 Moria M2 미세각막절삭기(머리깊이 : 110 μm)와 엑시머레이저(VISX STAR S2, USA)를 이용하여 라식 수술 시행 받은 195안을 대상으로 하였고, 절편 두께와 술 전 인자인 가파른 각막곡률치, 각막직경, 흡입 고리, 중심각막 두께와의 연관성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해 보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7; no. 4; pp. 607 - 612
Main Authors 조우형, Woo Hyung Cho, 이동초, Dong Cho Lee, 장무환, Moo Hwan Ch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04.200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Moria M2 미세각막절삭기를 이용한 라식 수술 시 각막절편 두께에 영향을 주는 술 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3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본원 안과에서 가파른 각막곡률치 nomogram에 따라 Moria M2 미세각막절삭기(머리깊이 : 110 μm)와 엑시머레이저(VISX STAR S2, USA)를 이용하여 라식 수술 시행 받은 195안을 대상으로 하였고, 절편 두께와 술 전 인자인 가파른 각막곡률치, 각막직경, 흡입 고리, 중심각막 두께와의 연관성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해 보았다. 결과 : 각막절편의 평균 두께는 119.37±21.21 µm였으며, 술 전 인자 중 중심각막 두께만이 각막절편 두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0.05). 각막곡률치, 각막직경, 흡입 고리의 크기는 절편 두께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 Moria M2 미세각막절삭기에 의해 만들어진 각막절편의 두께는 평균 119.37±21 µm 였고, 예상치에 비해 다소 두껍게 절삭 되었으며, 가파른 각막곡률치 nomogram을 기준으로 Moria M2 미세각막절삭기를 사용하여 라식 수술 시행 시, 술 중 인자를 배제한다면, 중심각막 두께 증가에 따라 각막절편의 두께가 증가하며, 가파른 각막곡률치, 흡입 고리, 각막직경은 각막절편 두께와 관계가 없다고 할 수 있다. <한안지 47(4):607-612, 2006> Purpose: To identify factors that may be related to variations in corneal flap thickness in LASIK using the Moria M2 microkeratome. Methods: The charts of patients having LASIK based on steep keratometry nomogram using Moria M2 microkeratome (head : 110 µm) and excimer laser (VISX STAR S2, USA) in our department of ophthalmology from March, 2003, to May 2005,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 total of 195 eyes were enrolled in the investigation. We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corneal flap thickness and preoperative factors including central corneal thickness, steep keratometer, corneal diameter, suction ring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ean corneal flap thickness was 119.37±21.21 µ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lap thickness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p<0.05).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lap thickness and other preoperative factors including steep keratometer, corneal diameter and suction ring. Conclusions: Mean corneal flap thickness using the Moria M2 110 µm head was 119.37±21.21 µm, little thicker than our expectation. When surgery is performed based on steep keratometry nomogram using Moria M2 microkeratome, if intraoperative factors are excluded, there is a trend toward thicker flap thickness with thicker central corneal thickness, whereas steep keratometer, corneal diameter or suction ring have no influence on flap thickness. J Korean Ophthalmol Soc 47(4):607-612, 2006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6.47.4.011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