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부등약시에서 약시치료 전 안경착용의 효과
목적: 굴절부등약시에서 약시치료를 시작하기 전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약시치료의 경과 및 결과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사시가 동반되지 않은 순수한 굴절부등약시 환아를 대상으로 안경착용과 동시에 약시치료를 시작한 군(16명, 가 군)과 4개월 동안 안경을 착용한 후 약시치료를 시작한 군(17명, 나 군)으로 분류하였다. 약시치료는 간헐적 아트로핀 처벌치료 또는 부분가림치료를 시행하였다. 초진 시 나이와 최대교정시력, 굴절부등의 종류, 약시치료의 방법과 기간, 최종 내원 시 시력을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의...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2; no. 5; pp. 550 - 556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5.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굴절부등약시에서 약시치료를 시작하기 전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약시치료의 경과 및 결과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사시가 동반되지 않은 순수한 굴절부등약시 환아를 대상으로 안경착용과 동시에 약시치료를 시작한 군(16명, 가 군)과 4개월 동안 안경을 착용한 후 약시치료를 시작한 군(17명, 나 군)으로 분류하였다. 약시치료는 간헐적 아트로핀 처벌치료 또는 부분가림치료를 시행하였다. 초진 시 나이와 최대교정시력, 굴절부등의 종류, 약시치료의 방법과 기간, 최종 내원 시 시력을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의 나이, 약시안과 건안의 최대교정시력, 굴절부등의 종류, 치료방법은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나 군에서 4개월간 안경착용 후 약시안과 건안의 시력이 모두 호전되었으며, 최종 내원 시 약시안 시력은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약시치료가 종료된 경우, 약시치료 기간은 가 군(15명)이 17.3개월로, 나 군(13명)의 4.7개월보다 길었다(p=0.003). 결론: 굴절부등약시에서 4개월간 안경을 착용한 후 약시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약시 치료 기간을 줄이는 방법이라 생각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1;52(5):550-556>
Purpose: To identify the efficacy of spectacle wearing for 4 months before amblyopia treatment in children with anisometropic amblyopia. Methods: The patients with anisometropic amblyopia without strabismus were selected for the present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patients who began amblyopia treatment while simultaneously wearing glasses (Group A, 16 patients) and patients who began amblyopia treatment after wearing spectacles for 4 months (Group B, 17 patients). Intermittent atropine penalization or part-time occlusion was provided for amblyopia treatment. Age and best-corrected visual acuity at the start and cessation of treatment, type of amblyopia, treatment method and duration of treatment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ag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of the amblyopic and better eyes, type of amblyopia, or treatment method between the 2 groups. In Group B, visual acuity of the amblyopic and better eyes improved after 4 months of spectacle wearing. At the last visi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visual acuity in the amblyopic eye between the 2 groups. In children with resolution of amblyopia, the treatment duration of Group A (15 patients) was 17.3 months, longer than the 4.7 months in Group B (13 patients) (p=0.003). Conclusions: Wearing spectacles for 4 months prior to amblyopia treatment may be an effective method of shortening the treatment dur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5):550-556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1.52.5.016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