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폐쇄각녹내장 환자에서 백내장 단독수술의 효과

목적 : 만성폐쇄각녹내장 환자에서 백내장 단독수술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백내장이 동반된 만성폐쇄각녹내장 환자에서 백내장 단독수술을 시행한 군 14명(16안, 가군)과 백내장 수술과 녹내장 여과수술을 같이 시행한 군 17명(19안, 나군)의 수술 전후 시력, 안압, 안압하강제 갯수 등을 조사하였다. 2003년 1월에서 2005년 8월 사이에 수술을 받고, 최소 6개월 이상 추적관찰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가군은 수술전 안압이 16.1 mmHg에서 수술 후 15.6개월에 13.8 mmHg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8; no. 4; pp. 521 - 526
Main Authors 김연희, Youn Hui Kim, 형성민, Sung Min Hy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04.200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만성폐쇄각녹내장 환자에서 백내장 단독수술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백내장이 동반된 만성폐쇄각녹내장 환자에서 백내장 단독수술을 시행한 군 14명(16안, 가군)과 백내장 수술과 녹내장 여과수술을 같이 시행한 군 17명(19안, 나군)의 수술 전후 시력, 안압, 안압하강제 갯수 등을 조사하였다. 2003년 1월에서 2005년 8월 사이에 수술을 받고, 최소 6개월 이상 추적관찰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가군은 수술전 안압이 16.1 mmHg에서 수술 후 15.6개월에 13.8 mmHg로, 나군은 수술 전 16.7 mmHg에서 수술 후 21.7개월에 13.2 mmHg로 감소하였다. 두 군 모두 수술 후 안압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두 군간의 안압 감소량의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안압하강제는 가군은 0.9개, 나군은 1.8개 감소하였으며, 두 군간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백내장이 동반된 만성폐쇄각녹내장 환자에서, 백내장 단독수술이 녹내장 수술을 동시 시행한 병용수술군과 비교하여 비슷한 안압하강효과를 보였기에, 백내장 단독수술을 먼저 시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한안지 48(4):521-526, 2007>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taract extraction in chronic angle-closure glaucoma (CACG) patients. Methods: Sixteen eyes from 14 patients with CACG underwent phacoemulsification with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PCL) implantation (group A), and 19 eyes from 17 patients with CACG underwent cataract surgery and additional trabeculectomy (combined surgery, group B) were evaluated for visual acuity, intraocular pressure (IOP), number of glaucoma medications and surgical complications. All patients had patent peripheral iridotomy holes before cataract surgery, and a minimum 6 month follow-up period was needed. Results: The mean postoperative follow-up period was 15.6 months in group A, and 21.7 months in group B. After surgery, the IOP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groups [from 16.1 mmHg to 13.8 mmHg in group A (P=0.013), and from 16.7 mmHg to 13.2 mmHg in group B (P=0.005)], but the amount of IOP redu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401). The relative decrease in the mean number of postoperative glaucoma medications was 0.9 in group A and 1.8 in group B, but the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60). Conclusions: Simple cataract surgery was effective in reducing IOP as much as combined surgery in CACG patients. These results affirm that phacoemusification with PCL implantation may be considered as the first treatment in cataract and CACG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48(4):521-526, 2007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7.48.4.005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