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안압녹내장의 빠른 시야손상진행 위험요인

목적: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에서 빠른 시야손상진행의 위험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정상안압녹내장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Visual field index progression rate ≤-2.0%/yr의 빠른 진행군과>-1.0%/yr의 느린 진행군으로 나누고, 나이, 성별, 당뇨, 고혈압, 편두통, 구면렌즈 대응치, 중심각 막두께, 시신경유두출혈, 베타영역시신경유두주위위축, 안압, 사용 중인 안압약 개수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빠른 진행군과 느린 진행군 26명씩 총 5...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3; no. 7; pp. 996 - 1001
Main Authors 유인정, In Jeong Lyu, 이정민, Jung Min Lee, 기창원, Chang Won K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7.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에서 빠른 시야손상진행의 위험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정상안압녹내장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Visual field index progression rate ≤-2.0%/yr의 빠른 진행군과>-1.0%/yr의 느린 진행군으로 나누고, 나이, 성별, 당뇨, 고혈압, 편두통, 구면렌즈 대응치, 중심각 막두께, 시신경유두출혈, 베타영역시신경유두주위위축, 안압, 사용 중인 안압약 개수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빠른 진행군과 느린 진행군 26명씩 총 52명을 분석하였다. 빠른 진행군과 느린 진행군의 VFI progression rate 평균은 각각 -3.92%/yr와 -0.42%/yr이었다. 로지스틱회귀모형의 단변량분석을 통하여 편두통, 시신경유두출혈, 베타영역시신경유두주위위축, 사용 중인 안압약 개수가 빠른 시야손상진행과 연관성을 보였고, 이 중 시신경유두출혈과 사용 중인 안압약 개수가 다변량분석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정상안압녹내장에서 빠른 시야손상진행의 위험요소는 시신경유두출혈이며, 사용 중인 안압약 개수와의 연관성은 빠른 시야손상 진행에 따른 이차적 결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risk factors of rapid visual field progression in normal-tension glaucoma. Methods: The authors of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normal-tension glaucoma who were treated between 2001 and 2011. The rapid progression group was composed of patients who showed a visual field index progression rate of ≤ -2.0%/yr, and the slow progression group was composed of patients who showed a visual field index progression rate of > -1.0%/yr using a Humphrey visual field analyzer (HFA). Age, sex, diabetes, hypertension, migraine history, family history of glaucoma, refractive error, central corneal thickness, disc hemorrhage, beta-zone parapapillary atrophy, baseline mean deviation, pattern standard deviation, initial IOP, mean follow-up IOP, peak IOP, IOP fluctuation, and number of eye drops between the 2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Among the 52 patients with normal-tension glaucoma, 26 were classified into the rapid progression group and 26 were classified into the slow progression group. The mean visual field index progression rate was -3.92%/yr and -0.42%/yr, respectively. In the univariable model, migraine history, disc hemorrhage, beta-zone parapapillary atrophy, and number of eye drops were associated with rapid visual field progression. According to multivariate analysis, disc hemorrhage and number of eye dro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Conclusions: Disc hemorrhage and number of eye drops were associated with rapid visual field progression in normal tension glaucoma patients.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2.53.7.006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12.53.7.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