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근 마비의 임상 양상과 자연 경과

목적: 상사근 마비로 진단된 환자들의 원인에 따른 임상 양상과 자연 경과를 고찰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6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 사이에 상사근 마비로 진단받은 80명을 대상으로 임상 양상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80명 중 71명이 단측성 상사근 마비로 진단되었고, 9명은 양측성이었다. 선천성 상사근 마비는 20명, 후천성 마비는 60명이었다. 후천성 상사근 마비를 원인별로 분류해보면 외상으로 인한 경우가 25명(31%)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혈관성이 24명(30%)을 차지하였다. 2개월 이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4; no. 4; pp. 627 - 631
Main Authors 현주, Joo Hyun, 김소영, So Yo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04.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상사근 마비로 진단된 환자들의 원인에 따른 임상 양상과 자연 경과를 고찰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6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 사이에 상사근 마비로 진단받은 80명을 대상으로 임상 양상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80명 중 71명이 단측성 상사근 마비로 진단되었고, 9명은 양측성이었다. 선천성 상사근 마비는 20명, 후천성 마비는 60명이었다. 후천성 상사근 마비를 원인별로 분류해보면 외상으로 인한 경우가 25명(31%)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혈관성이 24명(30%)을 차지하였다. 2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했던 후천성 상사근 마비 49명 중 24명(49%)에서 호전된 양상을 보였고, 특히 원인별 분류 중 혈관성 마비에서 가장 높은 호전율(75%, p=0.000)을 보였다. 또한 첫 진단시 상사시각이 5PD 이하인 경우에 그보다 큰 사시각을 갖는 경우보다 호전율이 높았다(p=0.048). 결론: 상사근 마비의 경우 그 원인에 따라 호전율에 차이를 보이므로 첫 진단시 원인에 대한 정확한 규명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자연경과를 고려하여 수술적 치료를 결정하여야 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natural course of superior oblique palsy (SOP) with objective criteria, and to show the contemporary etiology and recovery rates among several factors. The clinical features of SOP were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80 patients diagnosed with SOP between January 1, 2006 and December 31, 2011 was performed. Results: Clinical SOP features showed variation when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Out of 80 patients, 71 were identified with unilateral isolated and 9 bilateral cases of SOP. Twenty cases were congenital and 60 cases were acquired SOPs. Acquired SOPs were affected most commonly by trauma (31%) and vascular disease (30%). Twenty-four out of 49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over 2 months after the first visit recovered, especially vascular origin case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75%, p = 0.000). Patients with initial vertical deviation smaller than 5 Prism diopters (PD) experienced a more successful recovery than patients with an initial deviation larger than 5 PD. Conclusions: SOP has different recovery rates depending on the etiology. Accurate ocular examination and understanding of SOP etiology are necessary for successful treatment.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3.54.4.025
http://dx.doi.org/10.3341/jkos.2013.54.4.627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