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인지도를 이용한 관광공간의 이미지성 구성요인 -남이섬의 20대 및 30대 관광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는 공간 인지도 방법을 이용하여 관광공간의 이미지성 구성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남이섬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고, 대상지를 방문한 20대 및 30대 관광자들을 중심으로 공간 인지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지의 이미지성 구성요인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통로, 랜드마크, 경계 구성요인이 지구와 결절점보다 더 높게 인지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관광공간의 경우, 자전거, 동물 등, "동적 사물"이라는 새로운 이미지성 구성요인이 존재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관광계획가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경학회지 Vol. 44; no. 3; pp. 37 - 46
Main Authors 김현주, Hyun Ju Kim, 윤희정, Hee Jeong Y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경학회 30.06.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공간 인지도 방법을 이용하여 관광공간의 이미지성 구성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남이섬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고, 대상지를 방문한 20대 및 30대 관광자들을 중심으로 공간 인지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지의 이미지성 구성요인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통로, 랜드마크, 경계 구성요인이 지구와 결절점보다 더 높게 인지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관광공간의 경우, 자전거, 동물 등, "동적 사물"이라는 새로운 이미지성 구성요인이 존재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관광계획가나 조경설계가들은 관광공간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이미지를 명확하게 형성하는 데 있어 이상의 이미지성 구성요인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mageability elements of the tourism space using the spatial cognitive mapping meth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s Nami Island as a study site and collects spatial cognitive maps or sketches of the study area focused on tourists in their 20s and 30s after they visit the site.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on imageability elements of Nami Island show that paths, landmarks, and edges are more frequently cognized to tourists in their 20s and 30s than districts and nodes. This study determines a new imageability element of the tourism space, "moving objects," such as or bikes or animals. Tourism planners or landscape designers can consider these useful imageability elements as important planning factors in order to improve and clarify the images of tourism spaces.
Bibliography:Korean l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STI1.1003/JNL.JAKO201621650896395
G704-000407.2016.44.3.003
ISSN:1225-1755
2288-9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