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 눈떨림 환자에서 눈떨림파형분석을 통한 중심와 시간의 측정과 시력과의 관계

목적: 저자들은 영아 눈떨림 환자의 파형을 분석하여 중심와 시간을 측정하고 Nystagmus Acuity Estimator Function (NAEF)을 이용하여 예상 시력을 구한 후 환자의 시력과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영아 눈떨림 진단을 받은 환자 중 시력 측정에 신뢰성이 있으며 안전위도 검사결과 눈떨림의 파형이 된눈떨림이었던 27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눈떨림의 파형으로부터 중심와 시간을 측정하고 NAEF 값을 구한 후 이를 환자의 최대 교정 시력과 비교하였다. 결과: 환자의 최대 교정 시력과 NAEF 값의 상관분석...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1; no. 6; pp. 875 - 880
Main Authors 장지호, Jee Ho Chang, 이종복, Jong Bok Lee, 김수찬, Su Chan Kim, 한승한, Seung Han H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6.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저자들은 영아 눈떨림 환자의 파형을 분석하여 중심와 시간을 측정하고 Nystagmus Acuity Estimator Function (NAEF)을 이용하여 예상 시력을 구한 후 환자의 시력과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영아 눈떨림 진단을 받은 환자 중 시력 측정에 신뢰성이 있으며 안전위도 검사결과 눈떨림의 파형이 된눈떨림이었던 27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눈떨림의 파형으로부터 중심와 시간을 측정하고 NAEF 값을 구한 후 이를 환자의 최대 교정 시력과 비교하였다. 결과: 환자의 최대 교정 시력과 NAEF 값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0.4266의 상관계수를 얻었으며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구하여 p-value 0.0282를 얻었다. 이는 높은 NAEF 값을 보이는 환자에서 최대 교정 시력도 높은 경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영아 눈떨림의 파형만을 가지고 환자의 최고 가능 시력을 구한 값은 실제 시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중심와 시간을 구할 수 있는 환자는 된눈떨림의 파형을 보이는 환자에 국한되어 다른 파형에서도 중심와 시간을 구하기 위한 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0;51(6):875-880> Purpose: To report herein on Nystagmus Acuity Estimator Function (NAEF) based on the foveation time, obtained by analyzing waveforms of infantile nystagmus patients and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e patients` actual visual acuity. Methods: Electro-oculographic data of 27 patients with infantile nystagmus were reviewed. Data of patients only with jerk type nystagmus and reliable visual acuity were analyzed. The foveation time was measured, and NAEF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patients` actual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Results: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patient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ith NAEF was performed, and the retrieved coefficient was 0.4266. The p-value calculat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0282, implying that high NAEF correlates positively with visual acuity. Conclusions: Estimated visual acuity, calculated based on the waveforms, positively correlates with the patients` actual visual acuit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since the foveation time can be measured only in the patients with jerk-type nystagmus waveforms, further study should be performed on the measurement of the foveation time with other waveforms.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such analysis is possible with electrooculogram settings in most general hospitals.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6):875-880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0.51.6.004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