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치과위생사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3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직무스트레스 총점의 중위수는 46.0이었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평균은 23.67이었다. 인구학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살펴본 결과 연령과 근무경력이 낮을수록, 일주일에 1∼2회 음주를 하는 경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iwisaeng gwahakoeji Vol. 15; no. 5; pp. 679 - 687
Main Authors 원영순, Young Soon Won, 오한나, Han Na 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치위생과학회 30.10.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치과위생사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3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직무스트레스 총점의 중위수는 46.0이었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평균은 23.67이었다. 인구학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살펴본 결과 연령과 근무경력이 낮을수록, 일주일에 1∼2회 음주를 하는 경우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고위험군의 비율이 높았다(p<0.05).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고위험군의 비율이 높았다 (p<0.05). 직장문화의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 비해 높은 집단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고위험군의 위험비가 보정 전 3.6배(95% CI=2.080-6.218), 보정 후 3.4배(95% CI=1.921-6.090) 높았다. 직장스트레스 총점이 낮은 집단에 비해 높은 집단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고위험군의 위험비는 보정 전 2.3배(95% CI=1.104-4.925), 보정 후 2.7배(95% CI=1.1199-6.082)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뿐만 아니라 각 개인도 스트레스를 저하시킬 수 있는 꾸준한 자기관리를 통하여 자기만의 방법으로 해소하려는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of dental hygienists and risk factors related to psychosocial str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49 dental hygienists in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located in Jeonbuk Provinc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median of their total scores in job stress was 46.0, and the average of psychosocial stress scores was 23.67.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stress, many of the respondents who were younger, who had less working experience and who drank once or twice a week belonged to the high-risk group of psychosocial stress (p<0.05).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many of the respondents who suffered from heavier job stress belonged to the high-risk group of psychosocial stress (p<0.05). The group whose occupational climate was less stressful was 3.6-fold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high-risk group of psychosocial stress than the other whose workpalce culture was more stressful before the correction of the data, and the former was 3.4-fold more likely to do that than the latter after that. The group whose total score in workplace stress was higher was 2.3-fold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high-risk group of psychosocial stress than the other whose workplace stress was lower before the correction of the data, and the former was 2.7-fold more likely to do that than the latter after tha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development of job stress management programs is required, and everybody should make sustained self-management efforts to relieve their own stress and try to get rid of it in their own way.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KISTI1.1003/JNL.JAKO201534853187899
G704-002151.2015.15.5.019
ISSN:1598-4478
2233-7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