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사근기능항진에서 수평사시의 동반 유무에 따른 임상양상

목적: 하사근기능항진 환자에서 수평사시의 동반 유무가 하사근기능항진의 임상양상과 수술 결과에 영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하사근기능항진으로 하사근절제술 후 3개월 이상 관찰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하사근절제술과 동시에 수평사시 교정술을 시행했던 군(병용수술군, 49명, 74안)과 하사근절제술만 시행했던 군(단독수술군, 24명, 29안)으로 분류하였다. 주증상, 머리기울임, 하사근기능항진의 양안성, 안구회선, 하사근절제술 성공률을 조사하였다. 결과: 병용수술군의 주증상은 51%가 수평사시에 대한 증상이었으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3; no. 10; pp. 1493 - 1499
Main Authors 최덕규, Duk Kyu Choi, 최미영, Mi Young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10.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하사근기능항진 환자에서 수평사시의 동반 유무가 하사근기능항진의 임상양상과 수술 결과에 영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하사근기능항진으로 하사근절제술 후 3개월 이상 관찰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하사근절제술과 동시에 수평사시 교정술을 시행했던 군(병용수술군, 49명, 74안)과 하사근절제술만 시행했던 군(단독수술군, 24명, 29안)으로 분류하였다. 주증상, 머리기울임, 하사근기능항진의 양안성, 안구회선, 하사근절제술 성공률을 조사하였다. 결과: 병용수술군의 주증상은 51%가 수평사시에 대한 증상이었으며, 단독수술군은 눈이 위로 올라감 42%, 고개 기울임 29%였다. 고개 기울임의 빈도는 병용수술군 29%, 단독수술군 54%로 단독수술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하사근절제술의 수술성공률은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 하사근기능항진에 의한 증상 발현 빈도가 단독수술군에 비하여 병용수술군에서 낮으므로, 수평사시의 수술 전 검사에서 하사근 기능항진 여부를 주의깊게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하사근절제술의 수술 결과는 두 군에서 유사하였으므로, 수평 사시의 동반 유무가 수술 결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and the surgical success rates in patients with horizontal strabismus and inferior oblique overaction (IOOA). Methods: The patients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had received myectomy for correction of IOOA and had at least 3 months of follow-up.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patients who received myectomy and surgery for horizontal strabismus simultaneously (combined group, 74 eyes of 49 patients) and patients who received myectomy only (myectomy group, 29 eyes of 24 patients). Chief complaints, head tilt, bilaterality of IOOA, ocular torsion, and the surgical success rates were analyzed. Results: In the combined group, 51% of the chief complaints were horizontal deviation, and in the myectomy group 42% were upward deviation and 29% were head tilt. Objective head tilt was 29% in the combined group and 54% in the myectomy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success rate of myectomy. Conclusions: The frequency of symptoms associated with IOOA in the combined group was lower than in the myectomy group. Therefore, preoperative examination regarding IOOA should be carefully performed in patients who are planning a horizontal strabismus surgery because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rgical success rate between the 2 groups, the association with horizontal strabismus may have no effect on the surgical results of IOOA.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2.53.10.019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12.53.10.1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