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브프론트 방식을 이용한 라섹 수술 시 수술 전 다양한 굴절 검사의 정확도 비교

목적: Wavefront guided LASEK에서 수술전 시행한 굴절검사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만족스러운 수술 결과를 위한 nomogram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Wavefront guided LASEK을 시행한 30명 57안을 대상으로 절삭량과 수술 후 굴절량을 바탕으로 예측한 이상적 수술량과 수술 전 자동굴절검사, 현성굴절검사, 조절마비하 굴절검사, 조절마비회복 후 굴절검사, Wavescan, iTrace 수차계로 검사한 굴절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조절마비회복 후 굴절검사로 측정한 굴절량이 이상적 수술량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1; no. 9; pp. 1196 - 1202
Main Authors 안지민, Ji Min Ahn, 안현석, Hyun Seok Ahn, 서경률, Kyoung Yul Seo, 김응권, Eung Kweon Kim, 김태임, Tae Im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9.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Wavefront guided LASEK에서 수술전 시행한 굴절검사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만족스러운 수술 결과를 위한 nomogram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Wavefront guided LASEK을 시행한 30명 57안을 대상으로 절삭량과 수술 후 굴절량을 바탕으로 예측한 이상적 수술량과 수술 전 자동굴절검사, 현성굴절검사, 조절마비하 굴절검사, 조절마비회복 후 굴절검사, Wavescan, iTrace 수차계로 검사한 굴절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조절마비회복 후 굴절검사로 측정한 굴절량이 이상적 수술량과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이상적 수술량을 예측하는 nomogram의 효과가 유의하였다. 그외로 Wavescan을 이용한 굴절량이 다른 기계적 검사법보다 정확하였다. 결론: 수술 직전 정확하게 시행된 현성굴절검사가 굴절수술을 위한 굴절량 결정에 가장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wavefront guided LASEK을 위해 시행하는 aberrometer인 wavescan을 이용한 굴절량도 유사한 정확도를 보여 이를 기준으로 한 nomogram의 결정이 수술의 정확도를 올리는 데 기여할 것이다. <대한안과학회지 2010;51(9):1196-1202> Purpose: To predict the accuracy of preoperative refractive error measurement methods in wavefront-guided laser-assisted subepithelial keratectomy (LASEK) surgery and to formulate a nomogram for satisfactory surgical result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30 patients (57 eyes) who had undergone wavefront-guided LASEK were reviewed. The ideal surgical ablation amount was defined as the sum of the real surgical ablation amount and the remaining refractive errors. Comparison between the ideal surgical ablation amount and preoperative refractive errors was made using autorefraction, manifest refraction, cycloplegic refraction, postcycloplegic refraction, wavescan, and iTrace aberrometer measurements. Results: The refractive errors measured by the postcycloplegic refraction showed the closest relation with the ideal surgical amount, and the nomogram based on this refraction correl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with the ideal surgical ablation amount. The refractive error using the wavescan also showed more accurate refractive measurements than the autorefractor and iTrace aberrometer. Conclusions: Accurate manifest refraction immediately before surgery is the most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ablation amount. Additionally, the refractive errors measured with the wavescan, which is an aberrometer used for wavefront- guided LASEK, showed a minimal amount of errors. After reviewing the results, the nomogram based on these 2 methods can be concluded to possibly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the accuracy of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9):1196-1202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0.51.9.014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