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헐외사시에서 외직근후전술 시 술 후 외편위로의 회귀: 동반된 수술 방법에 따른 비교

목적: 간헐외사시에서 A-V형 외사시이거나 하사근기능항진 동반시 외직근 후전과 동시에 수평근이전술 또는 하사근후전술을 시행한후 술 후 사시각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외직근 후전 후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간헐외사시 110명을 대상으로 외직근 후전만 시행한 경우(1군)와 A-V형 외사시로 외직근 후전 및 양안 수평근 수직이전을 시행한 경우(2군), 하사근기능항진이 동반되어 외직근 후전 및 하사근후전술을 시행한 경우(3군)로 환자군을 분류하고 각 군 간의 수술 후 사시각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2; no. 11; pp. 1326 - 1330
Main Authors 김진우, Jin Woo Kim, 이종혁, Jong Hyuck Lee, 라상훈, Sang Hoon Ra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11.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간헐외사시에서 A-V형 외사시이거나 하사근기능항진 동반시 외직근 후전과 동시에 수평근이전술 또는 하사근후전술을 시행한후 술 후 사시각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외직근 후전 후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간헐외사시 110명을 대상으로 외직근 후전만 시행한 경우(1군)와 A-V형 외사시로 외직근 후전 및 양안 수평근 수직이전을 시행한 경우(2군), 하사근기능항진이 동반되어 외직근 후전 및 하사근후전술을 시행한 경우(3군)로 환자군을 분류하고 각 군 간의 수술 후 사시각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1일째 및 술 후 1개월째 안구정렬상태는 2군에서 가장 적은 양의 내편위각이 관찰되었으나 수술 후 6개월째 평균 안구정렬상태 및 수술 후 6개월간 사시각 변화는 각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술 후 1년간의 사시각 변화는 각 군 간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1군에서 외편위로의 회귀량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결론: 간헐외사시에서 일치 외사시로 외직근후전술만 시행하는 경우는 외편위로의 회귀가 가장 크게 관찰되었으며, A-V형 외사시에서 수평근의 수직이전술을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외편위로의 회귀가 가장 적게 관찰되었다. <대한안과학회지 2011;52(11):1326-1330> Purpose: To assess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of postoperative ocular alignment in intermittent exotropia corrected by horizontal muscle transposition or inferior oblique muscle recession together with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Methods: A total of 110 patients with intermittent exotropia with a follow-up period of more than 6 months after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were enrolled in the present study. The patients who received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only were classified as group 1, patients who received both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and horizontal muscle vertical transposition in both eyes were classified as group 2, and patients who underwent lateral rectus muscle and inferior oblique muscle recession were classified as group 3. The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ocular alignment among the patient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Among the 3 groups, group 2 demonstrated the smallest amount of esotropic deviation in mean postoperative ocular alignment measured 1 day and 1 month after surge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 the mean postoperative ocular alignment and mean amount of exotropic drift at 6 months.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postoperative exotropic drift 1 year after surgery among the 3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argest amount of postoperative exotropic drift was observed in group 1. Conclusions: In correcting intermittent exotropia, the largest amount of postoperative exotropic drift was observed in patients who received only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By contrast, the smallest amount of postoperative exotropic drift was observed in patients who received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with vertical transposition of the horizontal muscle.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11):1326-1330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1.52.11.003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