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상피제거술 후 흰쥐의 각막과 눈물샘에서의 신경성장인자의 변화

목적: 흰쥐에서 각막상피제거술 시행 전후 각막과 눈물샘에서 신경성장인자의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총 29마리의 흰쥐를 이용하여 대조군은 각막상피제거술을 시행하지 않았고, 실험군은 각막상피제거술을 시행하였다. 각막 상피제거술 시행 전과 시행 후 1, 2, 3일째 각막과 시술 전과 시술 후 1일째 눈물샘에서 신경성장인자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술 전과 시술 후 1, 7일째 각막과 시술 전과 시술 후 1일째 눈물샘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시술 전후의 신경성장인자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각막상피제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2; no. 5; pp. 597 - 602
Main Authors 신혜영, Hye Young Shin, 양지욱, Ji Wook Yang, 이영춘, Young Chun Lee, 김수영, Su Yo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5.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흰쥐에서 각막상피제거술 시행 전후 각막과 눈물샘에서 신경성장인자의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총 29마리의 흰쥐를 이용하여 대조군은 각막상피제거술을 시행하지 않았고, 실험군은 각막상피제거술을 시행하였다. 각막 상피제거술 시행 전과 시행 후 1, 2, 3일째 각막과 시술 전과 시술 후 1일째 눈물샘에서 신경성장인자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술 전과 시술 후 1, 7일째 각막과 시술 전과 시술 후 1일째 눈물샘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시술 전후의 신경성장인자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각막상피제거술 후 1일과 2일째 각막의 신경성장인자의 농도는 시술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시술 후 1일째 눈물샘의 신경성장인자의 농도도 시술 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각막과 눈물샘의 신경성장인자에 대한 면역화학염색에서 각막상피제거술 후 더 강한 염색 정도를 보여주었다. 결론: 흰쥐에서 각막상피상처 후 각막과 눈물샘에서 신경성장인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각막상피 치유에 있어 신경성 장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1;52(5):597-602> Purpose: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nerve growth factor (NGF) in the rat cornea and lacrimal gland before and after corneal epithelial wounding. Methods: Twenty-nine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Corneal trephination was performed using a 4.0-mm diameter trephine before scratch and at 24, 48, 72 hours after debridement. The lacrimal gland was excised before scratch and at 24 hours after epithelial debridement. NGF levels of the excised cornea and lacrimal gland were measured in rat corneas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was performed on rat corneas and lacrimal glands. Results: The NGF/total protein ratio (NGF/tP) increased after wounding in the cornea and lacrimal gland. NGF levels in the cornea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wounded group until the 2nd day after wounding (p<0.05). After NGF concentration peaked on the 1st day, there was a progressive decline after wounding. Additionally, the NGF concentration in the lacrimal gland of the wound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24 hours after epithelial debridement (p=0.001).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showed that NGF staining was stronger in rat corneas and lacrimal glands after epithelial debridement than before. Conclusions: Expression of NGF increased in rat corneas and lacrimal glands after corneal epithelial wounding, which suggests that NGF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corneal wound healing.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5):597-602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1.52.5.013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