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디옵터 이상의 각막 난시에서 난시 각막굴절콘택트렌즈의 효과
목적: V4형 implantable collamer lens (ICL) 삽입 후 평균 7.5년의 장기 경과관찰 시 백내장의 발생빈도와 그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과 방법: ICL 삽입술 전 평균 구면렌즈대응치가 -12.7D이고 수술 후 경과관찰 기간이 최소 3년 이상인 고도근시 환자 118명 228안을 대상으로 환자의 수술 전, 수술 후 3개월, 3년, 마지막 경과관찰 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백내장 발생의 위험인자들과 생존분석상 10.3년째 백내장 누적발생률과 누적 백내장 수술률을 알아보았다. 결과: V4형 ICL 삽입술을...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6; no. 6; pp. 830 - 834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30.06.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V4형 implantable collamer lens (ICL) 삽입 후 평균 7.5년의 장기 경과관찰 시 백내장의 발생빈도와 그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과 방법: ICL 삽입술 전 평균 구면렌즈대응치가 -12.7D이고 수술 후 경과관찰 기간이 최소 3년 이상인 고도근시 환자 118명 228안을 대상으로 환자의 수술 전, 수술 후 3개월, 3년, 마지막 경과관찰 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백내장 발생의 위험인자들과 생존분석상 10.3년째 백내장 누적발생률과 누적 백내장 수술률을 알아보았다. 결과: V4형 ICL 삽입술을 시행하고 최소 3년 이상 경과관찰하였을 때 생존분석상 10.3년째의 백내장 누적발생률은 20%였으며 실제 백내장 발생 환자는 34안(14.9%)이었다. 생존분석상 10.3년째의 누적 백내장 수술률은 12%였으며, 실제 백내장 수술을 시행 받은 눈은 12안(5.3%)이었다. 백내장 발생의 위험인자로는 나이(odds ratio [OR]=1.10, p=0.00), 수술 전 구면렌즈대응치(OR=0.90, p=0.00), 수술 전 수정체 두께(OR=9.54, p=0.00), 수술 전 안축장 길이(OR=1.33, p=0.00), 수술 후 3개월째 vault (OR=0.50, p=0.03), 마지막 경과관찰 시 ICL과 수정체의 주변부 접촉(OR=7.84, p=0.00)이 있었다. 결론: ICL 삽입술 후 중심부 vault의 감소 및 ICL 광학부 테두리와 수정체 주변부 사이의 접촉이 ICL 삽입술 후 백내장 발생의 주된 위험인자 중 한 가지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5;56(6):830-834>
Purpose: To report the effect of toric orthokeratology lenses on myopic patients who have more than 1.5 diopter (D) of corneal astigmatism. Methods: Seventeen patients (24 eyes) who wore toric orthokeratology lenses for more than 6 month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uncorrected visual acuity (UCVA), refractive error and keratometric changes including eccentricity before and after wearing lenses were compared. The correlations between corneal astigmatism as well as refractive astigmatism and lens toricity and between corneal astigmatism and improvement of UCVA after lens fitting were assessed. Results: After wearing lenses, UCVA (log MAR) wa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0.93 ± 0.13 to 0.09 ± 0.07 (p < 0.001). Myopia changed from -4.53 ± 1.55 D to -0.67 ± 0.80 D (p < 0.001), refractive astigmatism from -1.48 ± 0.71 D to -0.99 ± 0.72 (p = 0.008) and spherical equivalent from -5.27 ± 1.56 D to -1.12 ± 0.92 D (p < 0.001). Simulated K (Sim K) tended to be more flat (p < 0.001) and the eccentric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0.45 ± 0.08 to -0.69 ± 0.45 (p < 0.001), but corneal astigmatism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from 2.05 ± 0.41 D to 2.01 ± 0.98 D (p = 0.803). Correlation between corneal astigmatism and lens toric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 = 0.526, p = 0.012) but not between refractive astigmatism and lens toricity (r = 0.218, p = 0.329). The amount of corneal astigmatism was not correlated with the improvement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after lens fitting (r = 0.1804, p = 0.399). Conclusions: Toric orthokeratology lenses might be an effective treatment in patients with corneal astigmatism who cannot be fitted with spherical orthokeratology lenses. Lens toricity was correlated with corneal astigmatism and the amount of corneal astigmatism did not affect the improvement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after lens fitting.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6):830-834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5.56.6.010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