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채절개술 후 안압이 재상승한 폐쇄각 환자에서 단독 수정체유화술과 병용 섬유주절제술의 비교

목적: 레이저홍채절개술(LPI) 후 안압이 재상승한 폐쇄각 환자에서 수정체유화술(PE)을 시행한 경우와 섬유주절제술을 함께 시행한 경우(PETL)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LPI 후 안압이 19-38 mmHg로 재상승한 환자에 PE나 PETL을 시술한 후, 1년 이상 추적관찰한 각 26명, 21명의 의무기록을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 간에 수술 전 안압, 녹내장약제수, 주변홍채앞유착, 시신경유두함몰비, 시야결손 등은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안압은 1일, 7일째 PETL군에서 더 낮게 나타났으나, 이 이후에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3; no. 4; pp. 544 - 552
Main Authors 배신우, Sin Woo Bae, 형성민, Sung Min Hyung, 김우진, Woo Jin Kim, 김창식, Chang Sik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4.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12.53.4.54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레이저홍채절개술(LPI) 후 안압이 재상승한 폐쇄각 환자에서 수정체유화술(PE)을 시행한 경우와 섬유주절제술을 함께 시행한 경우(PETL)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LPI 후 안압이 19-38 mmHg로 재상승한 환자에 PE나 PETL을 시술한 후, 1년 이상 추적관찰한 각 26명, 21명의 의무기록을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 간에 수술 전 안압, 녹내장약제수, 주변홍채앞유착, 시신경유두함몰비, 시야결손 등은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안압은 1일, 7일째 PETL군에서 더 낮게 나타났으나, 이 이후에는 차이가 없었다. 약제수의 변화도 술 후 6개월에 PETL군이 더 적은 수를 사용하였지만, 그 외 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안압이 18 mmHg 이하로 유지된 비율은 술 후 3년에 PE군이 PETL군보다 더 높았고(96.2%와 69.8%, p=0.015), 합병증 빈도는 PETL군이 더 높았다(2명과 8명, p=0.028). 결론: PLI 시행 후 안압이 중등도로 재상승한 폐쇄각 환자는 PETL 대신 PE을 먼저 시술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대한안과학회지 2012;53(4):544-552>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ourses between phacoemulsification (PE) and PE with combined trabeculectomy (phacotrabeculectomy, PETL) in closed-angle patients with re-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IOP) after laser peripheral iridotomy (LPI). Methods: Closed-angle patients whose IOP re-elevated between 19 and 38 mm Hg after LPI were included. Medical records of 26 patients in the PE group and 21 patients in the PETL group who were followed for more than 12 months after surgery were reviewed for clinical course. Results: The IOP courses after surgery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during the study period except at 1 and 7 days after surgery, in which IOP in the PETL group were lower than that in the PE group. The number of anti-glaucoma drugs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at 6 months, when the number was greater in the PE group. Success rates for IOP below 18 mm Hg at 3 years were 96.2% in the PE group, higher than the 69.8% in the PETL group (Log Rank test, p = 0.015).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found in 2 patients in the PE group and in 8 patients in the PETL group (Fisher`s exact test, p = 0.028). Conclusions: We suggest that PE is a viable surgical alternative to PETL in closed-angle patients who have mildly re-elevated IOP after LPI.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4):544-552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2.53.4.007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12.53.4.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