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논습지에 도래하는 도요물떼새류의 취식 행동에 따른 서식지 이용 특성 연구

본 연구는 봄철 한국 중서부지역 논습지를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류의 취식행동을 확인하여 이들의 서식지 이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상 종은 종달도요, 알락도요, 청다리도요, 흑꼬리도요였으며, 이들은 논습지에서 쉽게 관찰될 뿐 아니라 형태적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서식지는 봄철 논습지에서 쉽게 확인되는 대표적인 형태인 “갈아엎은 후 물을 댄 필지”, “써레질 후 5 cm 이하의 수위를 유지하는 필지”, “써레질 후 5 cm 이상의 수위를 유지하는 필지”로 나누었다. 종달도요는 “갈아엎은 후 물을 댄 필지”을 이용...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hwangyeong nonghak hoeji Vol. 34; no. 3; pp. 178 - 185
Main Authors 남형규, Hyungkyu Nam, 최승혜, Seunghye Choi, 유정칠, Jeongchil Y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환경농학회 30.09.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3537
2233-4173
DOI10.5338/KJEA.2015.34.3.3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봄철 한국 중서부지역 논습지를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류의 취식행동을 확인하여 이들의 서식지 이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상 종은 종달도요, 알락도요, 청다리도요, 흑꼬리도요였으며, 이들은 논습지에서 쉽게 관찰될 뿐 아니라 형태적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서식지는 봄철 논습지에서 쉽게 확인되는 대표적인 형태인 “갈아엎은 후 물을 댄 필지”, “써레질 후 5 cm 이하의 수위를 유지하는 필지”, “써레질 후 5 cm 이상의 수위를 유지하는 필지”로 나누었다. 종달도요는 “갈아엎은 후 물을 댄 필지”을 이용하였고 이때 주로 시각과 촉각 모두 이용하는 취식 방법을 선택하였다. 알락도요와 청다리도요는 “써레질 후5 cm 이하의 수위를 유지하는 필지”에서 많이 관찰되었고 시각을 이용한 취식방법을 주로 선택하였다. 흑꼬리도요는 “써레질 후 5 cm 이상의 수위를 유지하는 필지”를 이용하였고 촉각을 이용한 취식방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토양관리와 관개강도에 영향을 받는 수위가 취식지의 접근성과 먹이 발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BACKGROUND: The coexisting shorebirds often use various foraging strategies, including feeding methods and habitat use, which are the likely mechanisms to explain the variation of morphological and behavior traits. We studied the foraging behaviors of four shorebirds to define how species separate according to habitat structures in rice fields of western-central Korea during their northward migration. METHODS AND RESULTS: The studied species were Long-toed Stints (Calidris subminuta), Wood Sandpipers (Tringa glareola), Common Greenshanks (Tringa nebularia), and Black-tailed Godwits (Limosa limosa), which were commonly observed in rice fields and represented by a wide range of morphological traits. Habita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plowed with water”, “shallow water level after harrowing”, and “deep water level after harrowing”) according to the irrigation intensity and soil manipulation of the farming practices. Long-toed Stints mainly foraged inthe “plowed with water”, where they used both visual and tactile searching methods. Wood Sandpipers and Common Greenshank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shallow water level after harrowing” They spent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using a visual searching method. Black-tailed Godwits were selectively attracted to “deep water level after harrowing” and used tactile cues as their predominant feeding technique.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water levels related in soil manipulation and irrigation intensity influence the accessibility to foraging sites and the detectability of prey for shorebirds species.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KISTI1.1003/JNL.JAKO201530856746155
www.korseaj.org
G704-000935.2015.34.3.010
ISSN:1225-3537
2233-4173
DOI:10.5338/KJEA.2015.34.3.35